JTG 0023-main.jpg



20년여 만에 중국 서안으로 가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중국에서 10년 세월이면 100년에 가까운 변화가 일어난다는 말이 있다. 그걸 실감한 5일간의 여행이었다.



38년간의 발굴, 거대한 토우의 갱


가는 곳마다 깜짝 놀랐다. 여기가 서안이 맞는 걸까? 거대한 성벽과 시내 복판에 자리한 종루와 고루만이 그대로일 뿐, 성벽 안팎으로 늘어선 도시의 풍경은 확실히 달라져 있었다. 곳곳에 고층 빌딩이 늘어섰고 잘 정비한 공원이 여기저기에 보였다. 중국이 작정하고 자본을 투입한 서부개발계획의 결과는 무서울 만큼 빠른 속도로 대륙 중앙의 도시를 발전시켜 놓았다. 심지어 날씨는 또 얼마나 쾌청한지. 대륙의 복판이니까 당연히 하늘이 부옇게 흐릴 거라고 예상했던 스스로가 무안해질 정도였다. 2019년의 서안은 전혀 다른 쾌적한 도시가 되어 있었다.


서안은 갈 곳이 많다. 일주일이 아니라 열흘을 잡고 돌아다녀도 볼 게 넘치는 도시다. 3박 4일의 제한된 시간을 쪼개서 쓸 필요가 있었다. 이번에 보지 못할 것은 과감히 포기하기로 했다. 하루는 시내를 쏘다니며 최대한 많은 것을 눈에 담아두려 했고, 다른 하루는 시 외곽으로 나가기로 했다. 병마용(兵馬俑) 때문이다. 진시황이 조성한 병마용은 엄밀히 따지자면 서안이 아니라 시 외곽인 린퉁에 위치해 있다. 중국의 세계문화유산 중에서도 꼭 봐야 할 문화유적지를 고르라면 첫손에 꼽을 만한 곳이다.


JTG 23-photo-01.jpg


아침 일찍부터 서둘러 목적지를 향했다. 서안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 한적한 시골 마을 같았던 린퉁 일대도 그사이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 잘 닦인 아스팔트 도로가 쾌적했고 창밖으로 번듯한 아파트도 보였다. 이는 분명 병마용의 영향이었을 게다. 매년 수십만 명이 전 세계에서 병마용을 보기 위해 서안 외곽 지역인 린퉁을 찾아오니 말이다.


가이드는 우리가 매우 운이 좋다고 말했다. 마침 사람이 많지 않은 날인 데다 병마용갱 세 곳을 모두 볼 수 있는 날이 며칠 남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병마용이 처음 발견된 건 1974년이다. 이곳에 살던 농부가 우물을 파던 도중에 우연히 발견했다. 단순한 유적인 줄 알았는데, 그의 발견은 세기의 발견이 되어 버렸다. 지금까지 4개의 갱도를 발견했는데, 8,000여 점의 병사와 130개의 전차, 520점의 말이 그 안에서 나왔다. 흙으로 빚어 구웠다고 믿기 어려울 만큼 섬세한 토우들이었는데, 모든 병사의 생김새가 다 다르다. 키도 가장 작은 것은 170센티미터 초반, 가장 큰 것이 197센티미터에 달한다. 지금까지 38년을 발굴했음에도 계속해서 토우가 쏟아져 나오는 중이다. 다만 이제는 발굴 속도를 현저하게 늦추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발굴하는 방식에 심대한 결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JTG 23-photo-02.jpg



완벽하게 재현한 황제의 군단


처음에는 쏟아지는 유물에 열광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토우 군단이 쏟아져 나오기에 그걸 꺼내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지금까지의 발굴 방식이 잘못됐음을 인지하게 됐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간 숱하게 사진으로 보았던 병마용의 토우는 세상으로 꺼내는 순간 망가진 것들이다.


JTG 23-photo-03.jpg


기록을 살펴보면 원래 모든 토우에는 채색까지 되어 있었다. 단순히 색을 입히는 정도가 아니라 실제 사람과 똑같다고 느낄 만큼 정교한 채색이었다. 갑옷의 재질에 따른 색깔은 물론이고 얼굴의 색과 눈동자까지 그려놓았다. 무기를 잡은 손은 무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손 모양을 하고 있었고, 손바닥에는 손금까지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토우가 세상에 드러나는 순간 순식간에 채색이 사라져 버렸다. 그런 형태로 발굴됐다는 기록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


JTG 23-photo-04.jpg


지금의 기술로는 병마용의 토우를 완벽하게 발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어떤 식으로 발굴을 하든 채색이 날아가는 걸 막을 수 없다. 진시황릉의 위치를 찾았음에도 지금껏 발굴을 시작하지 않은 이유도 이런 배경 때문이라고 가이드는 설명했다. 진시황릉의 규모는 지름만 57킬로미터에 달할 만큼 거대하다. 그러나 아직 그 내부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내부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병마용갱 전반의 보존 방식도 문제가 많았다. 워낙 거대한 규모기에 그 위에 건축물을 올려 햇빛을 막고 있을 뿐, 토우를 영구 보존하기 위한 시설은 전무한 상태였다. 중국 정부가 발굴을 늦추고 병마용에 보존 처리 시설을 갖추기로 한 것은 그 때문이다.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갱도를 비추는 광량을 조절해 유물을 지키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2019년 6월부터 병마용의 일부 구간이 폐쇄된다. 그렇다고 해서 관람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폐쇄 구간을 제외한 다른 갱도는 이전처럼 상시 개방한다.


JTG 23-photo-05.jpg


병마용은 1호갱이 가장 크고 그다음부터 차례로 규모가 작아진다. 병마용을 관람하는 가장 좋은 순서는 3호갱부터 거꾸로 내려오는 게 좋다는 일각의 주장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병마용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박물관부터 들어가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보통은 1호갱부터 2호갱, 3호갱 순으로 관람하게 된다. 3호갱은 진시황의 근위대가 조성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규모는 작지만 나름의 위용이 느껴진다. 2호갱은 아직 갱도의 형태만 파악하고 있을 뿐 본격적인 발굴이 진행되지 않았다. 1호갱과 비교해서 병마용이 발굴되기 전 어떤 형태로 발견했는지를 살필 수 있다.


JTG 23-photo-06.jpg


우리가 흔히 매체에서 보았던 병마용의 모습은 1호갱의 것이다. 입구부터 거대한 군단의 위용에 압도당한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진시황릉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340만 명의 인부를 동원해 기원전 246년부터 건축했다고 적어 놓았다. 재위 38년 중 20년여간 이 지하 황궁을 지었는데, 그 안에는 수은이 흐르는 5,000여 개의 강과 수십 개의 망루가 있고 온갖 보물과 수천의 병사를 부장했다는 내용이 눈에 띈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그중 아주 일부가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



온갖 먹거리의 천국


서안은 오랜 역사를 지닌 고도(古都)여서 음식 문화도 무척 다양하다. 밀가루를 이용한 음식을 즐겨 먹는 풍습이 있어 만두와 국수 요리가 발달했다. 국수만 종류별로 찾아 먹어도 몇 날 며칠을 세 끼 내내 먹어야 할 지경이다. 예전에는 반죽을 숙성한 뒤 칼날로 얇게 밀어서 쳐내는 도삭면이 곳곳에서 자주 보였지만, 지금은 ‘뱡뱡미엔’이 대세다. 뱡뱡미엔은 시진핑 주석이 롄잔 대만 국민당 주석에게 대접한 것으로 유명한 서안의 음식이다.


JTG 23-photo-07.jpg


원래 대중적인 서민 음식이었지만, 우연히 이 면을 맛본 황제가 다른 사람이 못 먹게 하려고 획수가 57획이나 되는 ‘뱡(biang)’자를 두 개 붙여서 이름을 붙였다고 전한다. 이 면은 면의 폭이 마치 허리에 두르는 벨트처럼 넓고 길다. 한 그릇에 면 하나를 넣어서 주는데 그릇이 가득 찰 만큼 푸짐하다. 면을 한 입씩 이빨로 끊어서 먹는 게 방법이다.


Biangbiangmian.png


서안을 대표하는 다른 음식은 ‘회족 요리’다. 서안은 과거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었던 터라 신장 지역에서 이주해온 회족이 많이 산다. 회족은 이슬람교를 따르는 민족. 돼지고기와 술을 먹지 않는 대신 양고기를 많이 먹는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회족의 음식이 양꼬치다. 이제는 한국에서도 양꼬치를 흔하게 먹을 수 있지만 정작 이 음식이 회족의 것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서안 중심가에는 회족 거리가 조성돼 있어 회족의 음식을 다양하게 맛보기 좋다. 큼지막한 양고기가 끼워진 양꼬치, 양갈비, 양탕 등 온갖 양 요리가 미각을 자극한다.


JTG 23-photo-08.jpg


회족의 음식은 아니지만, 서안 여행에서 반드시 먹어볼 필요가 있는 건 ‘량피’라 부르는 음식이다. 량피는 차가운 면 요리에 가깝다. 얼핏 마치 청포묵과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 밀가루와 고구마 전분 등으로 만든 면이다. 가게마다 량피를 만드는 방법이 달라서 여러 곳을 다니며 맛을 보는 것도 좋겠다. 서안에서는 식사라기보다 간식에 가까워서 부담 없이 먹기에 적합하다. 길을 걷다 떡볶이 먹듯이 편하게 한 그릇 먹기 좋다는 말이다. 식감은 다소 차진 편.


JTG 23-photo-09.jpg


이번 서안 여행 중에 먹은 량피는 최근 서안에서 가장 핫한 먹거리촌인 ’영흥방(永興坊)’에서 먹은 것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이곳에서는 작은 그릇에 콩나물과 파, 샐러리 같은 채소를 더하고 고추기름으로 비벼서 내놓는다.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지지만 매콤한 맛에 감칠맛이 더해서 젓가락이 계속 움직인다. 서안 여행 중에 뭘 먹어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다면 우선 량피부터 한 그릇 먹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근래 가장 주목받는 현지 음식이라고 불리는 데는 분명 그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



JTG 23-title-01.jpg


양고기는 항암물질이 함유돼 있고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감소시켜 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이다. 저칼로리에 저지방, 고단백, 고칼슘이 특징이기도 해서 다이어트에도 좋고 수술을 한 환자에게도 권할 만하다. 아미노산 함유량도 소나 돼지고기보다 높고 비타민, 인, 철 등이 풍부하다. 육질이 부드러워서 노인과 어린이도 먹기에 편하다. 과로로 몸이 여위거나 산후에 허약해졌을 때, 신(腎)이 허해 양기가 쇠약해졌을 때, 허리와 무릎이 연약해졌을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