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H18-10.jpg



BSH18-02.png 자식인지 유리인형인지


까다롭고 예민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의 고충은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내 친구의 아들 녀석 역시 무척이나 까다로워서 키우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고 만날 때마다 친구는 하소연이다. 뭐가 그렇게 까다로우냐고 물어보니 일단 입맛부터가 까다롭다고 한다. 저 입맛에 맞지 않는 음식은 쳐다보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식탁에서 밥을 먹을 때 물잔 하나, 수저 하나에도 까탈을 부린다고 한다. 분명히 씻어 놓은 깨끗한 물잔이고 수저임에도 지저분해 보인다며 다시 또 씻어달라고 한단다. 잠을 잘 때도 조그만 소리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해서 잠 한 번 재우려면 숨도 크게 못 쉰다고 한다. 이 정도면 자식이 아니라 유리로 된 인형을 키우는 것 같다면서 하소연이다.


BSH18-03.png 마치 반하와도 같은 아이


이렇게 까다롭고 예민한 아이를 만나게 되면 반하(半夏)라는 약재가 연상된다. 반하란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의 알줄기를 건조한 것인데, 몸 안의 온갖 더러운 체액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예를 들어 기관지의 점막에 끼어 있는 가래나, 콧속의 점막에서 흘러나오는 콧물이나, 소화기나 관절강 내에 고여 있는 무언가 더러운 액체를 청소한다. 마치 아주 예민한 더듬이를 장착한 것과도 같아서 더러운 물이 감지되는 순간 그냥 두지 못하고 바로 달려가 깔끔하게 바로 잡아 놓는다.


이렇게 뛰어난 효능이 있지만 한 가지 단점도 있다. 그것은 독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이 반하를 생것 그대로 쓰게 되면 독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난다. 복용하는 순간 목이 불타는 듯이 따가워서 견딜 수가 없다. 인후염이 생길 수도 있고 입과 목이 마비될 수도 있다. 반하의 독성분이 식도나 기관지의 점막을 맹렬하게 자극하기 때문이다.


반하의 이 예민한 감지능력과 깔끔한 청소능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독을 제거하는 법제를 먼저 해야 한다. 그런데 이 법제가 보통 손이 가는 것이 아니다. 먼저 반하를 채취하여 끓는 물에 담갔다가 잘게 썬다. 그런 뒤 깨끗한 물로 우렸다가 씻어 내기를 무려 일곱 번을 하여서 반하를 만졌을 때 끈끈하게 묻어나오는 진이 다 없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다음 생강을 짜서 받아낸 생강즙이나 백반을 달인 물에 이 반하를 하룻밤 동안 담가둔 후 약한 불에 건조시키면 비로소 약으로 쓸 수 있는 반하가 완성이 된다.


비록 법제하는 과정은 아주 힘들고 번거롭지만 이렇게 독성을 제거하고 나면 다른 약재로는 대체할 수 없는 발군의 효능을 갖추게 된다. 바로 이 반하라는 약재가 까다롭고 예민하기 짝이 없는 아이들과 아주 유사해 보인다.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기중심적이기 쉽고 또 주위 사람들을 힘들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성스런 법제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른 아이들이 가지지 못한 발군의 재능을 갖추게 된다. 그 재능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BSH18-04.png 예민한 촉수와 풍부한 감성은 오히려 재능


그 재능이란 뛰어난 감각, 풍부한 감성 그리고 뚜렷한 표현력이다. 예민하다는 것은 사소한 변화나 차이도 알아차리는 뛰어난 감각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 변화나 차이에 의해 기뻐하고 분노하고 슬퍼하는 풍부한 감정의 폭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쁘고 화나고 슬픈 감정을 솔직하고도 절실하게 외부로 표현할 줄 아는 것이다.


감각과 감성과 표현력이 풍부한 것은 아무나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맛있는 스파게티 하나를 먹고서 그저 “맛있네.” 이 한 마디만 내뱉는 사람이 있다. 반면에 “면발은 쫄깃하고 새우는 탱탱하다. 소스에서는 토마토를 오랫동안 끓인 시간만큼이나 깊고도 중후한 맛이 느껴진다. 그 깊은 맛 속에서도 마치 사이다의 톡 쏘는 탄산 맛과도 같은 월계수 잎의 향취가 코를 감싼다.”라고 표현하는 사람이 있다. 똑같이 보고 듣고 느끼고 먹고 냄새 맡았는데 아무런 감흥이 없는 사람과 폭발하는 듯한 감흥이 일어나는 사람은 그 출발선부터가 다르다.


감각과 감성과 표현력이 풍부하기에 세상을 살기에 유리해질 수 있다. 특히 창조와 관련된 계통의 일을 할 때는 큰 자산이 된다. 예를 들자면 디자인, 미술, 음악, 요리, 작가, 무용, 연예인 등 창조와 관련된 일을 직업으로 가질 때는 자신의 재능을 훨훨 펼칠 것이다. 때로는 인간관계를 친숙하게 만드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도 안 날 정도로 살짝 머리 손질을 한 동료에게 “머리 자르셨네요. 더 멋져지셨어요.”라고 건네는 사소한 말 한마디가 상대에 대한 관심을 전달해줘서 더 빨리 친숙함을 느끼게 해 줄 수도 있다.


BSH18-05.png 하지만 민폐가 되지는 않도록


이러한 예민함은 자산이 될 수도 있지만, 다듬어지지 않으면 민폐가 될 수도 있다. 둔한 것은 다른 말로 하면 순한 것이고, 예민한 것은 다른 말로 하면 까다로운 것이다. 자신의 그 까다로운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주위 사람들을 아주 피곤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자기중심적이 되기도 쉽다. 이렇게 예민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은 보통 힘든 것이 아니다. 마치 법제가 잘 된 반하는 그 예민함으로 몸 안의 더러운 체액을 감지하여 잘 청소해 주지만, 법제가 되지 않은 반하는 그 효능이 미처 발휘되기도 전에 먹은 사람의 목을 맹렬하게 자극하는 것과도 같다. 제독이 되지 않은 반하를 먹은 사람은 그 효능을 알아보기도 전에 독성에 놀라 멀리 던져 버리고 말 것이다.


그러니 까다롭고 예민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는 아이의 감각과 감성은 잘 길러주되 주위 사람에게 민폐가 되지는 않도록 해줘야 한다. 아이의 까다로움을 고쳐 보겠다고 야단을 치거나 체벌을 하면 안 된다. 순한 아이가 받는 것보다 열 배의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주위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면 아이의 마음에 맞추어주는 것이 좋다.


밥 먹을 때 물잔을 한 번 씻건 열 번 씻건 간에 그것이 주위에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그러니 이런 것은 엄마는 힘이 들겠지만 아이의 요구 사항을 들어줘도 된다. 하지만 공공장소에서 까다롭게 구는 등 옆의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면서까지 자신의 요구 사항에 맞춰달라고 한다면 이런 경우엔 들어줄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BSH18-06.png 포용심으로 법제하라


까다롭고 예민한 성격의 아이가 주위 사람을 괴롭히는 자기중심의 민폐형 이기주의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포용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받아들일 줄 아는 마음을 길러주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냄새가 나는 것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다. 엄마는 네가 냄새가 나도 여전히 사랑한다. 그런데 만약 엄마가 코를 막고서 싫어하고 화를 낸다면 너의 마음이 얼마나 아플까?” 이렇게 역지사지의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다. “친한 친구의 생일 선물로 정성껏 그림을 그려서 줬는데, 그 친구가 색깔이 마음에 안 든다면서 바닥에 던져버리면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사랑하는 동생을 위해서 난생처음으로 간식을 열심히 만들어 줬는데, 동생이 맛이 별로라며 쳐다보지도 않으면 얼마나 속상할까? 맛이 좀 없어도 동생이 맛나게 먹어주면 참 좋을 텐데. 다음번에는 더 맛나게 만들 수도 있는데.” 이렇게 역지사지를 통해 포용하는 마음을 길러줘야 한다. 특히 부모나 형제자매나 친한 친구와 같이, 아이가 사랑하는 사람의 예를 들며 설명한다면 아이가 더 빨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까다롭고 예민한 아이가 워낙에 유별난 아이다 보니, 엄마가 자칫 자신이 아이를 잘못 키웠기 때문인가 하는 자책감을 가지기 쉽다. 하지만 전혀 그럴 필요는 없다. 그냥 아이의 타고난 자질이 그런 것일 뿐이다. 오히려 흔하지 않은 재능을 갖춘 아이를 얻은 것이니, 반사회적이거나 이기적인 사람이 되지 않도록 잘 길러주면 된다.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