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맥진 지표.jpg

■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전영주 박사 연구팀이 경희대한방병원(이하 연구진)과 함께 전통의서 속 맥 특성을 ‘맥진(脈診)* 지표 개발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


* 맥진(脈診)은 인체의 생리 및 병리적인 건강 상태를 요골동맥(橈骨動脈, 손목 부분에서 요골과 피부 사이를 지나는 동맥)의 맥파를 통해 관찰하는 한의학 대표 진단법. 연구진은 객관적이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량적 맥파 데이터를 획득 · 분석할 수 있는 맥진기를 개발한 바 있으며, 맥의 세기, 깊이, 너비, 첨예도, 불규칙성 등의 맥파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꾸준히 개발 중


• 연구진은 한방 부인과 다빈도 통증 질환인 월경통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통증 환자는 긴장된 맥의 특성을 보인다’는 전통의서* 내용을 과학적으로 규명

* 빈호맥학(瀕湖脈學): 명(明)나라 이시진(李時珍)이 1564년에 편찬한 맥학(脈學)에 관한 책. “긴맥(緊脈)은 한사(寒邪)가 원인이 되어 모든 통증을 주재하니”라는 구문에서 긴장된 맥과 통증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음

- 임상시험에는 20대 월경통 환자군(이하 환자군) 24명과 건강 대조군(이하 대조군) 24명이 참여하였으며, 피험자는 부인과 질환 등 기질적 질환(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

* 자궁내막증: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 복강 내에 존재하는 질환

자궁근종: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 피험자는 월경기, 난포기, 황체기의 월경주기*에 따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맥진기(KIOM-PAS ver. 2.0)를 이용해 맥파 신호를 측정하였으며, 동일 질환이라도 증상에 따라 맥파가 다를 수 있어 3인의 한의사 변증**(辨證) 진단도 수행

* 월경주기 : 가임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생리학적 변화의 주기. 이 주기는 월경을 하는 시기 ‘월경기’, 난소가 발육 · 성숙하는 시기인 ‘난포기’ 및 황체가 활동하는 시기인 ‘황체기’로 나뉨

** 변증(辨證) : 한의학에서 환자의 병의 위치와 원인을 살펴 진단하는 전반적인 과정


• 환자군의 변증은 약 96%가 ‘기체어혈*(氣滯瘀血)’로 진단이 되었고, 이를 대상으로 통증 정도를 파악하고자 맥파 신호에서 정량적 지표를 찾아 분석

* 기체어혈(氣滯瘀血) : 기가 몰린지 오래되어 어혈이 생긴 것. 발생 부위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생기고 심해지면 해당 부위가 단단하게 붓거나 살이 상하기도 함

- 긴장된 맥파는 가압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나타나므로 가압 크기를 일정하게 증가시킬 때 최대 압맥파가 나타나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특성에 주목해, 가압에 따른 맥파의 저항구간을 긴장도(PTI; pulse tension index) 지표로 정의해 정량화

- 그 외에도 최적가압(OAP; optimal applied pressure, 최대 압맥파가 나타날 때의 가압 크기)과 맥의 깊이 (PDI; pulse depth index, 요골동맥을 등속으로 가압할 때 센서가 피부에 접촉한 시점부터 최대 압맥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모터 이동거리) 및 맥의 세기(PPI; pulse pressure index, 최대 압맥파의 크기)를 분석해 월경주기에 따른 월경통 환자군과 대조군 간 맥파 지표들 비교


• 분석 결과 월경기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환자군의 맥이 대조군의 맥보다 긴장되고 깊이가 얕으며 최적가압 값은 더 작은 결과 도출

* 최대 압맥파 크기의 70% 이상을 기준으로 측정한 긴장도의 경우 1.15로 가장 큰 효과크기(effect size)와 0.81의 높은 곡선하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 값을 보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결과 긴장도와 최적 가압을 동시에 고려한 모델의 분류율이 가장 높아(AUC=0.83) 환자군의 경우 대조군보다 긴장된 맥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 확인


참고: 한국한의학연구원, 전통의서 속 맥(脈)특성, 과학적 규명, 2019.09.05.


출처: NIKOM 동향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