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홍잠.jpg

■ 농촌진흥청은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 고영호 교수 연구진(이하 연구진)과 함께 홍잠(弘蠶)*의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효과 입증


* 홍잠(弘蠶)은 대국민 공모로 명명된 익힌 숙잠의 새 이름. 넓고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간을 이롭게 하는 누에라는 의미


•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가진 쥐에 홍잠을 50주 동안 먹인 뒤 베타-아밀로이드 뇌 축적량을 확인한 결과, 홍잠을 먹지 않은 쥐의 뇌에는 베타-아밀로이드가 많이 축적됐으나, 홍잠을 먹은 쥐는 정상 쥐와 마찬가지로 전혀 축적되지 않는 결과 확인

※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75만 명에 달함. 65세 이상 고령자(738만 명)의 10% 정도에 이르며, 이 중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70% 이상임. 알츠하이머 치매는 고령화로 뇌의 신경연접*이 줄어 뇌에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이면서 발병하며, 기억력이나 사회성은 낮아지고 공격성은 커지며 수명도 줄어들게 됨. 현재까지는 효과적인 예방법이나 치료 방법은 없는 실정

* 뉴런(신경세포) 간 연결 부위로 Synapse(시냅스)라 함. 감각기관이 자극되고 반응하고 기억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역할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주성분. 알츠하이머 치매에 결정적으로 관여하는 아미노산 펩타이드를 말함

- 행동학적 특성으로는, 홍잠 미섭취 쥐는 새로운 이웃이나 물건에 관심이 적고 새로운 길을 잘 찾지 못함. 또한, 공격적으로 변해 싸움이 심하며 불편한 조건에서 자세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등 치매의 전형적인 특징을 드러냄

- 반면, 홍잠을 먹은 쥐는 새로운 이웃이나 물건에 호기심이 왕성하고 새로운 길을 잘 찾는 등 공간 기억력이 높았음. 그뿐만 아니라, 다른 쥐와 다툼 없이 원만하게 지내며, 자세 조절 능력이 우수해 치매 관련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


• 또한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가진 초파리로 작용 기전을 시험한 결과, 홍잠을 섭취한 경우 미토콘드리아* 활성이 크게 증가해 ATP** 생성량이 40% 늘었고, 뇌의 신경연접은 50% 내외로 늘었으며, 기대 수명과 건강수명도 15% 내외로 증가

* 세포 호흡이 일어나는 소기관. 진핵세포 세포질에 있고, 생명활동을 위한 ATP를 생성하는 세포 내 발전소

** 모든 살아있는 세포의 에너지 저장소 분자 아데노신삼인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ATP 생성 능력 저하 확인

- 이로 인해, 홍잠을 꾸준히 섭취하면, 미토콘드리아 활성이 증가하여 ATP 생성량이 늘고 신경세포가 보호됨으로써 신경연접이 증가하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되지 않아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 가능


•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가장 효과가 좋은 홍잠 생산용 누에 품종을 선정하기 위해 누에 품종 별로 비교한 결과, 백옥잠과 골든실크로 만든 홍잠이 신경연접 개선 효과가 좋았으며, 단기 기억력 개선, 신경세포 보호 등은 골든실크로 만든 홍잠이 더 우수한 효과를 보임


• 이번 연구 결과는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현재 홍잠을 이용한 치매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연구를 추진 중


참고: 농촌진흥청, 알츠하이머 치매, ‘홍잠’ 먹고 예방하세요, 2019.09.18.


출처: NIKOM 동향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