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수십년간 국립암센터에서의 한의학 연구와 한의사 채용이 서양의학계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무위로 돌아가고 있는것과는 달리, 일본 국립암연구소에서는 한약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일본 국립암센터-암연구소 연구진들은 암 환자에서 체중 및 체력 감소, 소화불량 등 고도의 쇠약 증세를 통칭하는 악액질 상태에 대해 한약 육군자탕이 개선 작용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3113


역류성 위식도 질환, 기능성 소화장애와 같은 소화기 질환이나, 암 환자의 섭식 장애 등에 사용되고 있는 육군자탕은 일반적으로 그렐린의 분비를 유도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위 운동을 촉진시키는 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들은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한 암성 악액질 실험 모델을 바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병적 상태가 그렐린 저항성에 의해 유발되며, 이를 육군자탕에 의해 개선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했다.


프로토콜에 따라 85As2 세포를 이식, 위암으로 인한 심각한 악액질 상태가 유발된 질병 모델에서, 그렐린을 외부에서 주입했을 때 이에 대한 반응이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 혈중의 그렐린이 증가하더라도 시상하부에서의 식욕 관련 펩타이드의 mRNA가 감소하고,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GHS-R) mRNA는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육군자탕 투여에서는 혈중 그렐린 농도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시상하부에서의 GHS-R mRNA는 증가했고 식욕부진 현상도 개선되었다.


연구진들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렐린 저항성이 식욕부진과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 이에 육군자탕이 그렐린 신호를 강화시켜 그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제안했다.


Terawaki K, Kashiwase Y, Sawada Y, Hashimoto H, Yoshimura M, Ohbuchi K, Sudo Y, Suzuki M, Miyano K, Shiraishi S, Higami Y, Yanagihara K, Hattori T, Kase Y, Ueta Y, Uezono Y. Development of ghrelin resistance in a cancer cachexia rat model using human gastric cancer-derived 85As2 cells and the palliative effects of the Kampo medicine rikkunshito on the model. PLoS One. 2017 Mar 1;12(3):e0173113. doi: 10.1371/journal.pone.0173113. eCollection 2017.


동향 170324.jpg


출처: 대한한의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