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침 치료는 어떻게 염증성 통증을 치료할까?"
이미 수많은 연구를 통해 침 치료가 다양한 통증에 안전하고 효과적임이 확인되어 있지만, 지금도 많은 연구자들은 침 치료가 인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규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인체 항상성과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는 인체 내 시스템인 apelin 수용체(APJ)는 체액의 항성성과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내분비 반응 및 심혈관 기능 등을 조절하며,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여 비만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불안, 우울과 같은 스트레스성 질환, 심혈관 및 대사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상당수 침 치료가 가지고 있는 임상적 효능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한편, 중국 상해중의약대학 연구진들은 이 apelin/APJ 시스템이 염증성 통증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규명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여 국제마취학연구학회지(Anesthesia and Analgesia)에 발표하였다.
연구진들은 염증성 통증의 주요 동물 모델인 CFA 주입 모델을 활용하여 전기침 치료의 통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척수에서 apelin/APJ 합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 CFA 주입은 apelin 합성을 억제했지만 전침 치료는 이러한 억제 효과를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apelin에 대해 길항 작용을 하는 약물인 F13A를 투여한 결과, 전침 치료의 통증 억제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전침의 통증 치료 효과는 apelin을 매개하여 작용하는 것임을 보였다.
이후 apelin-13을 투여하는 일련의 실험을 통해 apelin 자체도 통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전기침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 더 나은 진통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진들은 이를 통해 전기 침 치료는 염증성 통증에서 apelin/APJ 시스템에 개입하여 진통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침 치료가 위의 경로에 관여하는 만큼, 앞으로 apelin/APJ 시스템이 관여하는 전신의 기능을 중심으로, 침 치료가 어떻게 다양한 질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대한한의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