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어렸을 때 대부분 가난했다. 그러면서도 앞세대의 가난 이야기를 귀 아프게 듣고 컸다. 들은 바로는 혹독했다. 가장 흔했던 게 소나무 속껍질 벗겨 먹었다는 것이다. 누구네 며느리가 덜 우린 송피를 먹고 산처럼 부어올랐는데 지금의 몸매가 그때 만들어진 거라고도 하고 옆 마을 어떤 가족은 칡뿌리만 갉아 먹은 탓에 대대로 이가 성하지 못하다고도 했다. 고구마와 간장 하나로 겨울났다는 증언은 흔한 편에 속했다.
아무튼 나는 예전의 굶주림이 이해되지 않았다. 그 시절은 생선이 흔했다. 마을 앞 축항에서도 이런저런 물고기를 충분히 낚아낼 수 있었으니까. 그래서 물었다.
“왜 소나무 껍질을 먹어요? 고기 낚아 먹으면 되잖아요.”
그때 한 어른의 대답.
“끼마다 그것을 어떻게 먹겠냐. 사람은 모름지기 곡기가 들어가야 살지.”
아, 곡기(穀氣). 결국은 그거였다.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었다.
우리 섬 학교에서는 주기적으로 배급이 나왔다. 우유와 건빵. 선생님이 건빵 배급을 주면 아이들은 상장이라도 받은 것처럼 의기양양 자루를 메고 고개 넘어 집으로 갔다. 건빵은 어른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밭일 가는 사람들이 점심으로, 물일 가는 해녀들이 간식으로 그것을 가져갔다.
“야들아, 언제 건빵 배급 나온다고 안 하던?”
골목에서 만나면 꼭꼭 물어보던 동네 할머니도 있었다. 어른들이 이 심심한 건빵을 왜 좋아하는지 잘 몰랐는데 그것은 곡기였기 때문이었다.
겨울이 깊어지면 집집마다 곡식이 바닥을 드러냈다. 보리가 패려면 한참이나 더 기다려야 했다. 그때 톳을 뜯어다가 밥을 해먹었다. 구황식품으로 으뜸이었다.
톳밥은 톳 줄기로 만든다. 톳이 자라나면 제법 크다. 그것을 데쳐 말리면 잎이 떨어지고 줄기만 남는다. 줄기를 잘게 잘라 쌀이나 보리를 넣고 만든다. 약간의 쌀이나 보리로도 몇 사람분을 만들 수 있었다.
톳나물은 지금도 집집마다 상에 오른다. 자라기 전 여린 것으로 만든다. 된장이 주요 양념이며 젓국장 조금, 고추장과 식초, 설탕은 기호에 따라 넣는다. 요즘은 매실을 넣기도 한다. 씹히는 질감이 좋고 손암 선생의 설명대로 맛이 상큼하다. 톳나물에 밥 비벼 먹으면 시원한 바다 기운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것 같다.
자라버린 톳은 삶고 말린 다음 자루에 넣고 바람 잘 통하는 곳에 숙성시킨다. 다시 삶아 물에 여러 날 담가두면 퉁퉁 불어나는데 그것을 가지고 무쳐먹는다.
사슴 꼬리와 비슷하여 ‘녹미채’라고도 부르는 톳은 오래 먹으면 이와 머리카락이 아주 좋아진다. 산모가 먹으면 아이의 뼈가 튼튼해진다. 산성화된 몸을 알칼리성으로 바꿔주기도 하는데 예전에는 살아남기 위해 먹었던 것을 요즘은 건강식으로 먹는다.
* 한의학에서는?
톳은 칼로리는 낮고 미네랄은 풍부하여 다이어트에 좋다.
여성들의 골다공증. 수기(水氣)로 화기(火氣)를 식혀주므로 완경기 음식으로 널리 응용할 수 있다.
© 한창훈 작가의 산문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