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보다 못한 형의 슬픔
오랜만에 동창 모임이 있어서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여자들은 모이면 남편 얘기 아니면 자식들 얘기였다. 한창 얘기꽃을 피우던 중에 한 친구의 아들에 대한 얘기가 내 귀를 사로잡았다. 친구는 아들이 둘이었다. 그런데 작은아들이 큰아들보다 더 똑똑했나 보다. 큰아들은 초등학교에 갓 입학했는데 아직 한글을 완전히 깨우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유치원 시절부터 한글을 가르치려고 학습지도 시켜보고 직접 가르쳐 보기도 했는데 이상하게도 한글을 깨치질 못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야 할 때는 점점 다가오고 있는데, 최소한 한글은 읽고 쓸 줄 알아야 학교에 들어가서도 수업을 따라갈 텐데, 친구는 마음이 다급해지기 시작했다.
이런 엄마의 다급한 마음을 아이도 느꼈나 보다. 학교에 갔다 오면 아이는 늘 풀이 죽어 있다고 하였다. 옆에 친구들은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도 술술 읊어대니 이 녀석이 기가 완전히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학교만 갔다 오면 “엄마, 나는 왜 아직도 한글을 잘 못 읽는 거야?” 이런 소리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친구의 마음이 천 갈래 만 갈래 찢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한글 깨치기가 느린 것도 있었지만 큰아들의 성격 자체가 소심한 면도 좀 있어 보였다. 남들과 비교했을 때 자신이 잘 못하는 것 같거나 속도가 느린 것 같으면 금세 우울해진다는 것이다. 나는 왜 이렇게 잘 못할까 하면서 의기소침해지기 일쑤라고 한다. 아무리 아이에게 넌 잘하고 있다, 너는 충분히 똑똑하다고 기를 살려주려고 해도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와중에 정말 충격적인 사건이 생겼다고 한다. 큰아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느라 여념이 없어서 두 살 아래의 작은아들은 신경도 쓰지 않았는데, 유치원에 다니던 둘째 아들이 그만 한글을 깨쳤다는 것이다! 둘째 아들이 길거리에 나서면 길가의 온갖 간판들을 줄줄 읽어댄다는 것이다.
물론 작은아들이 한글을 깨친 것이야 놀라운 일이지만, 가뜩이나 기죽어 있는 큰아들이 이 사실을 알고서 더욱 풀이 죽어버렸다는 것이다. 그 후로는 학교 숙제를 할 때도 “나는 이거 잘 못해.” 하면서 의욕이 떨어진 모습을 자꾸 보여서 지켜보기가 너무 마음이 아프다고 한다. 작은아이의 학습 속도가 더 빠른 것이 빚어낸 슬픈 이야기였다.
자신감 없는 아이의 속마음은?
자신감이 없는 아이는 언뜻 보면 답답해 보일 수도 있다. 잘하는 것도 있고 못하는 것도 있는데 유독 자신이 못하는 것에 대해서 슬퍼하고 자신감이 없어 하니 안쓰러우면서도 답답하다. 하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이런 아이에게는 숨겨진 속마음이 있다.
우선 아이의 마음속에는 더 잘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 더 잘하고 싶은데 그게 안 되니까 속상하고 우울한 것이다. 잘하고 싶은 마음 자체가 없으면 속상할 일도 없다. 잘하고 싶고 그래서 인정받고 싶고 칭찬받고 싶으니 속상한 것이다.
또한 이런 아이는 겸손하다. 그런데 지나치게 겸손하다. 조그마한 재주에도 쉽게 흥분하는 아이와는 정반대인 셈이다. 지나친 자만은 파멸에 이르게 하지만 지나친 겸손이 파멸에 이르게 하지는 않는다. 다만 기회를 놓치게 할 수는 있다.
그리고 자신감이 없다는 것은 어쩌면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못하니까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근거 없이 내가 제일 잘 낫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자신에 대한 잣대가 엄격한 것이다.
이미 충분히 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잘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 보니 우울해하고 자신감 없어 한다. 혹은 정말로 잘 못하기에 그래서 그걸 너무 잘 알기에 우울해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건 간에 아이의 성향 자체가 우울하다. 그래서 이미 충분히 잘해도 기쁘지 않다. 정말 잘 못하는 것이면 더욱 기쁘지 않다. 자신이 잘하는 것은 눈에 잘 안 보이고, 못하는 것은 매우 크게 보인다. 자신의 장점을 보는 방법을 아직 깨우치지 못 했다.
기쁨으로 법제하라
이렇게 우울하고 의기소침하고 자신감이 없는 아이를 지배하고 있는 이 슬픔이란 마음은 어떻게 극복시켜줘야 할까? 동의보감의 대답은 이렇다. “슬픔은 기쁨으로 이겨 내어라.”고 하였다. 자신감 없는 아이의 마음을 덮고 있는 슬픔의 구름을 걷어내려면 기쁨의 햇살을 마구 뿌려주어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도록 법제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가장 좋은 것은 바로 칭찬이다.
끊임없이 아이를 칭찬해 주어라. 아이가 자신이 못 하는 것만 계속해서 들여다보느라 슬퍼하게끔 그냥 놔두지 말아야 한다. 우울한 성향의 아이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모습에 빠져들면 혼자서 헤어 나오기 힘들 수도 있다. 못하는 것도 물론 있지만 잘하는 것도 있다는 것을 강하게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칭찬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칭찬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확실하게 잘하는 것을 찾아내어야 한다. 아무리 내 아이가 아흔아홉 가지를 다 못한다고 하더라도 한 가지는 잘하는 것이 분명히 있다. 그걸 먼저 찾아내어야 한다. 이때 아이가 전혀 동의하지 못 하는 것으로 칭찬해서는 안 된다. 아이 스스로가 생각해도 ‘내가 이거는 정말 잘하는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으로 칭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엄마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아이가 정말 잘하는 것을 찾아내었다면 그것을 더욱 잘하도록 뒷받침을 해주어야 한다. 만약 아이가 바둑을 잘하는 것 같다면 바둑 학원을 보내건 엄마가 바둑을 가르치건 하여서 또래 아이들에 비해서 바둑은 월등하게 잘하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다. 한 가지에 대해 확실한 자신감이 생기면 이것이 일으키는 긍정적인 에너지는 무궁무진하다. 바둑을 잘하게 되었으니 이제 주산을 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주산을 잘하게 되었으니 학교 공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단 한 가지, 아이가 확실하게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라. 그리고 그것을 더욱 잘하게 만들어 주어라. 그 과정에서 끊임없는 칭찬을 퍼부어 주어라. 비록 시간과 노력이 많이 걸리고 끈질긴 인내심이 필요하더라도 말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세상 모든 사람들이 모든 것을 다 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식구들의 예를 들어주면 가장 좋다. 엄마는 이것은 참 잘하지만 대신 이것은 참 못한다, 아빠 역시 그러하다, 이렇게 가까운 식구들의 예를 들어주면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다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아이는 한층 자신감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동생에게 한글 깨치기를 역전당해 버린 친구의 큰아들도 자신의 한 가지 특기를 발견하자 한층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 특기는 바로 종이접기였다. 성격이 차분하고 손이 꼼꼼해서인지 같은 반 아이들 중에서는 월등하게 종이접기를 잘한다는 것이다. 종이접기 수업을 받으면서 이 사실을 발견하자 아이가 전보다 더 밝아졌다면서 친구가 무척이나 좋아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친구의 끊임없는 칭찬과 격려가 있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