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살이
본래 이 식물은 기생성이라 열매가 떨어지면서 끈끈한 점액성의 투명 물질이 흘러내려 나뭇가지에 붙어 착상을 하면서 식생한다. 혹자는 새들이 식량으로 따 먹고 날아가다가 배설물이 나뭇가지에 떨어지면서 붙어 번식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저기의 나뭇잎 혹은 바위에서 새들이 겨우살이 열매를 먹고 배설한 씨앗을 발견할 수 있고, 점액질이 희고 고무줄 같이 흐르면서 중간중간에 종자가 들어있는 것도 볼 수 있다.
국내에는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Loranthaceae에 속하는 식물로는 꼬리겨우살이속 Hypear의 꼬리겨우살이 Hypear tanakae (Loranthus tanakae) 및 참나무겨우살이속 Taxillus의 참나무겨우살이 Taxillus yadoriki (Loranthus yadoriki) 등이 있으며 고산의 인적이 드믄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겨우살이속 Viscum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inne var. coloratum를 곡기생(槲寄生)이라고 하며 주종을 이루고 있다. 붉은겨우살이 Viscum album var. coloratum for. rubroaurantiacum는 수량이 적어서 약용하지는 않는 실정이다.
또한 남부지방의 동백나무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겨우살이속 Korthalsella의 동백나무겨우살이 Korthalsella japonica Engler는 백기생(柏寄生)이라고 한다.
국내에는 겨우살이 종이 5종에 불과하지만 중국에는 Loranthus속이 무려 33종, Viscum속은 17종에 이른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는 상상기생(桑上寄生) 말고도 이명으로 기설(寄屑), 우목(寓木), 원동(惌童), 조목(蔦木) 등으로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모두 기생초(寄生草)라는 뜻이며 나무에 기생한다는 의미이다.
시경(詩經)에서는 조(蔦)라고 하였는데 이 말은 새가 종자를 옮기면서 번식한다는 의미이다.
도홍경(陶弘景)의 학설에서는 뽕나무에서도 자라지만 소나무, 버드나무, 단풍나무에서도 자라는데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부위에 착상을 하여 자라고, 잎은 작고 둥글면서 청적색을 띠며, 잎이 두툼하고 광택이 있으며 마디는 잘 부서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작 모체가 되는 나무에 붙어있는 동안에는 매우 단단하게 붙어있어서 채취할 경우에 애를 먹는다. 대개 음력으로 3월 3일에 채취하여 그늘에 건조시키며 4월 하순에 백색의 꽃이 작게 피고, 5월에 적색으로 익고 크기는 콩과 같다고 했다.
최근에 중국에서는 상기생과 곡기생을 분류해서 효능을 재정리하고 있다.
상기생은 4종으로
1. 상기생(桑寄生) Taxillus sutchuenensis (Lecomte) Danser : 광서, 해남
2. 사천상기생(四川桑寄生) Loranthus sutchuenensis Lecomte : 사천 중남부의 해발 500-1500m
3. 홍화기생(红花寄生) Scurrula parasitica L. : 해안과 산지
4. 모엽둔과기생(毛叶钝果寄生) Taxillus nigrans (Hance) Danser : 사천, 호남, 강서
곡기생은 1종으로
Viscum coloratum(Kom.)Nakai를 기원으로 한다.
곡기생(槲寄生)
기원
상기생과에 속한 겨우살이 Viscum coloratum(Kom.)Nakai의 건조시킨 잎과 가지 줄기이다.
중국의 동북지방에서 동청(冬靑), 북기생(北寄生), 유기생(柳寄生), 곡기(槲奇), 상기생 동청(凍靑)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국내에서 이것을 상기생(桑寄生)이라고 단정지어서 부르고 같은 용도로 응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 그러나 유사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소위 한의학에서 상기생(桑寄生)을 약용하기 시작한 것은 <신농본초경>에서 부터다. 상상기생(桑上寄生)을 상기생과의 상기생 Loranthus parasiticus (L.) Merr. 및 L, chinesis DC.와 동일시하고 있다. 그 외 곡기생(槲寄生) Viscum album Linne var. coloratum, 율기생(栗寄生) Viscum japonicum Thunb.(Korthalsella japonica), 시기생(柿寄生) Viscum diospyrosicolum Hayata 등도 약용한다.
성분
* rham-nazin, rhamnzin-3-O-β-D-glucoside, isorhamnetin-3-O-β-D-gluco-side, 3-methyleriodictyol, viscumneoside ㅣ, ll, lll, lV, V, VI, VII
* β-acety-lamyranol, β-amyrin palmitate, β-amyrin acetate, daucosterol
* liriodendrin, butan-2,3-diol-3-O-monoglucoside
* palmitic acid, meso-inositol, succin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ro-tocatechuic acid
약리작용
1. 심혈관 계통에 작용하여
1) 혈압강하 작용
2) 관상동맥의 혈류량 증가 작용
3) 심근에 허혈성 개선 작용
4) 항부정맥 작용
5) 미세혈관의 순환장애 개선 작용
2.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3. 발효 곡기생은 특이성, 비특이성 면역 증강 작용
4. 항암 작용
효능
고문헌상 상기생의 효능과 유사하다.
임상응용
1. 만성 기관지염에 곡기생(槲寄生) 15g, 진피(陳皮) 길경(桔梗) 어성초(魚腥草) 패모(貝母) 각 12g을 전탕 1일 3회 복용하면 현저한 효능을 얻게 된다.
2. 관상동맥경화증으로 심장 부위의 통증, 부정맥에 약침제로 응용된다.
3. 동상에는 증류액을 환처에 발라서 치료한다.
4. 최근에 독일에서는 곡기생(槲寄生)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암 치료제를 개발하여 서양 임상가들 사이에서 큰 호평을 얻고 있다.
용량
8-15g
금기
특이성을 찾을 수 없다.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