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콩 술
한의학 고전에 검정콩을 볶아서 술에 담가 하루 혹은 삼일 정도 지나서 콩을 걸러내고 그 술을 마심으로써 순환장애로 발생하는 중풍(中風), 각기(脚氣), 산후(産後) 제반 풍증(風症) 등의 질환을 치료했다는 기록이 있다. 흑두주(黑豆酒), 혹은 두림주(豆淋酒)라 불렸던 검정콩 술이 이토록 엄중한 질환에 응용될 수 있다는 점을 대개는 상상하기 힘들기 때문에 술과 검정콩의 효능을 자세히 살펴보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검정콩을 검게 될 때까지 볶아서 연기가 사라지기 전에 뜨거운 상태로 술에 넣어 적절하게 사용하면 풍비(風痺), 탄완(癱緩), 구금(口噤) 등의 중풍 질환과 출산 후의 제반 풍증(風症)을 치료할 수 있다. 『본초습유(本草拾遺)』
각기(脚氣)의 풍열이 위로 치솟아 심장이 타는 듯하면서 답답하고, 눈앞이 캄캄하면서 어지러울 때는 검정콩 2되를 충분히 익도록 볶아 술 1말에 넣은 다음 밀봉하여 하루가 지난 후 콩을 걸러내고 술을 마신다. 『의방유취(醫方類聚)』
그 밖에 검정콩과 술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가장 대표적인 예가 상기의 경우이며 방법은 다르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도 활용하였다.
안면이 갑자기 부을 때 검정콩 1되에 물 5되를 넣고 달여 2되로 졸인 다음 콩을 버리고 술 8되를 넣고 총 9되가 되도록 졸인다. 이것을 3~4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단, 부종이 나은 직후에는 갈증이 나도 물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술
본초학적으로 술의 맛은 달고 쓰고 맵다고 표기한다. 물론 소금기가 없으므로 싱겁기도 하므로 이 네 가지 맛으로 효능을 설명한다. 『탕액본초(湯液本草)』에서 "술의 매운맛은 뭉친 것을 흩어지게 할 수 있고, 쓴맛은 기(氣)를 아래로 내려가게 할 수 있으며, 단맛은 중초(中焦)에 머무르면서 긴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그 싱거운 맛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대변을 빠르게 내보낸다."라고 하였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술을 과음하면 몸이 약해지고 정신이 혼미해지며 장기간 반복되면 장기를 해쳐 생명을 잃기도 한다. 그러나 꼭 필요한 경우 필요한 만큼 먹으면 아주 좋은 약이 된다.
고대의 의학자들이 큰 추위로 모든 것이 얼어붙을 때에도 술은 얼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그 열성(熱性)이 매우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술을 인체의 냉병(冷病)에 응용하여 좋은 효과를 보았는데, 예컨대 차가운 기운이 흉부의 통증을 유발할 때 정제한 소금을 소주에 담가 마시면 낫는다고 한 것 『본초강목(本草綱目)』, 배가 냉하여 복통이 있을 때 소주를 데워 마시면 낫는다고 한 것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을 들 수 있다.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傷寒論)』이나 『금궤요략(金櫃要略)』에서 물과 술을 함께 달이는 탕제가 3개인데 보음제(補陰劑)에서는 이렇게 함으로써 약성이 느리게 흘러 체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냉기를 흩트리는 처방에서는 잠복한 냉기의 응결을 파괴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참고로 소주를 과음하여 인사불성이 되어 있으면 무즙이나 녹두즙을 강제로 먹여야 한다. 시중에 술 깨는 것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헛개나무가 평소에는 별로 권장할 만한 것이 아니지만 이런 경우에는 그 열매를 달여 탕액을 마시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술은 물론 쌀, 밀 등의 곡식을 누룩으로 담근 술을 의미한다. 도수가 높은 술은 낮은 술보다 그 열성이 크다. 물로 희석한 도수 낮은 술은 술이 물을 빌어 이루어졌으므로 그 질(質)이 물처럼 차다고 보아야 한다. 그래서 이러한 술을 적당히 마시면 한열이 중화되어 인체에 크게 해가 없다. 그러나 이것도 많이 마시면 반드시 그 열성(熱性)의 피해를 입게 된다.
주객들이 흔히 말하는 경험담 중에 물을 마시면서 소주를 마시면 잘 취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것은 실제로 동의보감에도 소개되어 있는 그야말로 의학적이고 경험적인 사실이다. 그리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다음과 같은 논술이 있다 : "술의 맛 중의 매운맛은 당연히 먼저 폐(肺)에 들어가는데 만일 물과 함께 마시면 술의 열성을 진정시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검정콩
검정콩은 신(腎)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소변이 잘 나오게 할 수 있고 치솟는 기(氣)를 아래로 내려주기도 한다.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풍열(風熱)을 제거할 수도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 그래서 중풍(中風)으로 인한 하지무력(下肢無力)을 호전시킬 수 있고 출산 후의 제반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고도 하였다. 『식료본초(食療本草)』
검정콩의 해독작용에 대해서는 본초강목에 구체적인 언급이 있다 : "옛날 처방에서 검정콩은 모든 약독(藥毒)을 해독한다고 서술하였기에 나는 언제나 이것을 실험하여 보았는데 결코 그렇지는 않았다. 다만 감초(甘草)를 가미하여 사용하면 놀라운 효험을 나타내었다."
검정콩을 감초와 함께 끓인 탕액을 마시면 일체의 열독기(熱毒氣)를 없애고 풍독(風毒)으로 인한 각기(脚氣)를 치료한다. 『식료본초(食療本草)』
검정콩은 어떻게 하여 먹느냐에 따라 그 성질이 많이 다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의가(醫家)들의 논술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볶아서 복용하면 매우 뜨겁고, 삶아 먹거나 청국장으로 먹으면 매우 냉하며, 콩나물이나 된장으로 만들어 복용하면 뜨겁지도 차지도 않고 평(平)하다. 『본초습유(本草拾遺)』
기백(岐伯)이 말하기를 생것은 따뜻하고 익은 것은 차다고 하였다. 그러나 진장기(陳藏器)는 생것은 평(平)하고 볶아서 먹으면 지극히 뜨거우며 달여서 복용하면 지극히 냉하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맹선(孟詵)이 생것을 찧어서 헌데 바르면 낫는다고 말한 것을 보면 생것이 따뜻하다는 것은 맞지 않다. 또한 신농본초경에 볶아서 부스러기로 하면 위(胃)의 열(熱)을 다스린다고 하였으니 볶은 콩이 지극히 뜨겁다는 것은 맞지 않다. 그러므로 생것은 평(平)하고 볶은 것은 따뜻하며 삶은 것은 차다고 볼 수 있다.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疎)』
여러 색깔의 콩에 대한 고대의 정리를 보면 검정콩만 약용으로 사용한다는 점은 일치하는데, 그 밖의 것까지 구체적으로 기술한 의서는 본초강목이다 : "대두(大豆)에는 흑색, 백색, 황색, 갈색, 청색, 얼룩이 간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흑색인 것은 약(藥)으로 쓰고 또 식용으로는 청국장을 만들면 좋다. 황색인 것은 두부를 만들거나 기름을 짜거나 된장을 만드는 데 쓴다. 다른 것들은 두부를 만들거나 볶아 먹을 수 있을 뿐이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