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세를 보이는 미국 자폐증 유병률

Autism Rates Have Stabilized in U.S. Children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14년과 2016년 동안은 지난 20년간 꾸준히 증가하던 것과 달리 미국 내 자폐증 유병률이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을 통해 발표된 이 연구는 미국 전역의 3세에서 7세의 아동 및 가족 30,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표본 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조사 응답자에게는 2014년에서 2016년 동안 자녀가 자폐증, 아스퍼거 장애, 전반적인 발달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등이 있다는 말을 의사로부터 들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을 주었다. 이 결과는 나이, 성별, 인종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여 조정되었다.


2014년의 경우에는 응답자의 2.24%가 자폐증을 보고했는데, 2015년과 2016년에는 그 상승률이 각각 2.41%, 2.58%에 그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자폐증 유병률은 하부 집단에 따라 달라진다. 3년 동안의 기간에 3.54%의 남아가 자폐스펙트럼장애로 보고됐지만, 여아는 1.22%에 그쳤다. 유병률도 남미계 아동은 1.78%, 흑인은 2.36%, 백인은 2.71%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른 전반적인 자폐증 유병률은 2.4%로 최근 자폐증 및 발달 장애 모니터링(ADDM) 네트워크가 수행한 예측값 1.46%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차이는 조사 설계가 다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최근 연구가 자폐증 진단을 받았는지라고 질문한 반면, 그 전 연구는 교육 및 건강 평가 수준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는 정보나 시간에 따라 영향을 주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요소를 수집하지 않았다. 이런 조사방식은 1960년대 이후 계속 사용하던 것이지만 2014년에 개편되었기 때문에 이전 자폐증 유병률의 차이를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는 없다.


여러 대규모 조사에서는 지난 20년간 자폐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지만 새로운 연구는 그 증가율이 정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DDM 네트워크의 예측도 2002년에서 2010년 사이 거의 123% 증가한 후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는 30%로 감소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폐증 진단 기준의 변화, 대중의 인식, 더 많은 아이들이 진단을 받는 것 등이 기존 자폐증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유전 및 환경적 위험 요소에도 잠정적인 변화가 있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유병률 및 위험요소 변화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관련연구자:

관련기관:

본문키워드(한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병률

본문키워드(영문): ASD, pervalence

국가: 미국

원문출판일: 2018-01-02

출처: http://time.com/5084331/autism-rates-us-s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