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은 어떻게 외상성 뇌 손상에 효과를 보일까?"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 (SIRS)이나 패혈증 등 중증 내과 질환에 대승기탕 등 대황을 군약으로 하는 중약 투여가 산화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기전으로 환자의 생존율에 유의한 개선을 보일 수 있다는 결과가 시사되고 있다. 이에 대황은 외상성 뇌 질환 환자에서 유사한 기전으로 환자의 신경 기능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기존 연구들을 통해 대황이 외상성 뇌 질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으나, 어떠한 작용을 통해 환자에게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대황의 주성분인 rhein의 항염, 항산화 효과가 이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운데, 이번 연구는 그 명확한 기전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외상성 뇌 질환 모델 뇌혈관 장벽 (BBB)에 대황과 그 주 성분인 rhein이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NADPH 산화효소/ROS/ERK/MMP-9 경로를 거쳐 작용함을 밝혀냈다. 뇌에서 유발된 뇌혈관 장벽의 손상에 대황은 NADPH 산화효소의 활성화와 ROS의 생산을 저해하며, 그 결과 ERK/MMP-9 경로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다.


연구진들은 이번 결과가 중약의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향후 중약의 다성분에 의한 추가적 기전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Wang Y, Fan X, Tang T, Fan R, Zhang C, Huang Z, Peng W, Gan P, Xiong X, Huang W, Huang X. Rhein and rhubarb similarly protect the blood-brain barrier after experimental traumatic brain injury via gp91phox subunit of NADPH oxidase/ROS/ERK/MMP-9 signaling pathway. Sci Rep. 2016 Nov 30;6:37098. doi: 10.1038/srep37098.


동향 161221.JPG


출처: 대한한의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