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논문 요약 및 비평 보기
침 치료는 성 기능 저하에 효과적인가?
Abdi F, Alimoradi Z, Roozbeh N, Amjadi MA, Robatjazi M. Does acupuncture improve sexual dysfunction? A systematic review. J Complement Integr Med. 2021 Oct 1;20(1):1-16. doi: 10.1515/jcim-2021-0194.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여성 및 남성 성 기능 장애를 치료하는 데 있어 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여성 및 남성 성 기능 장애 환자
침 치료군 (전기 자극, 수기법 및 온침 등의 자극 포함)
침 치료와 비교되는 다양한 방법 (가짜침, 무처치군, 자가 치료, 대조군 없음 등)
1. 일차 평가변수: 성 기능 저하 개선도 측정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unction (IIEF), self-report measures, visual analogue scale (VA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Pain Vigilance and wareness Questionnaire, Intravaginal ejaculation latency times (IELTs) and Premature Ejaculation Diagnostic Tool (PEDT)
2. 이차 평가변수: 통증, 출혈 등의 부작용
1. 13개의 임상시험에서 침 치료는 욕망 (desire), 성욕 (libido), 발기 부전 (erectile dysfunction and impotency)의 영역에서 성 기능 장애를 개선했다.
2. 대부분의 임상시험에서 침 치료로 인한 중대 이상 반응 보고는 없었고, 3개의 임상시험에서만 사소한 부작용 보고가 있었다.
성 기능 장애 침 치료 임상시험에 대한 계통적 고찰에서 침은 심각한 부작용 없이 성 기능 장애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 치료가 성 기능 장애를 치료하는 데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지만, 침의 효능에 대한 높은 방법론적 수준의 근거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성 기능 장애는 성 기능에 대한 불만족으로 인해 고통을 겪는 것으로 정의된다. 성 기능 장애는 성적 반응/쾌락에 대한 지속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현저한 임상적 고통을 초래하며 삶의 질, 자신감, 대인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보완대체의학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 분야의 연구는 표본 규모가 작고 제한된 센터에서 수행되어 효능 판정에 제한적이었다. 체계적 문헌고찰의 경우에도 남성 관련 연구는 발기 장애에 한정되어 있고, 여성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침 치료가 여성과 남성의 성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999년부터 2016년까지의 남녀 성 기능 장애 대상으로 일반침, 전기침, 온열침 등 다양한 침 치료 방법으로 행해진 임상시험을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Scopus, CNKI 등에서 검색한 160여 개의 연구 중 13개의 임상시험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여성 성 기능 장애 치료에는 주로 공손 (SP4), 삼음교 (SP6), 음릉천 (SP9), 귀래 (ST29), 기충 (ST30), 족삼리 (ST36), 합곡 (ST43), 족임읍 (GB41), 소해 (HT3), 신문 (HT7), 소충 (HT9), 외관 (TE5), 천정 (TE10), 합곡 (LI4), 중극 (CV3), 관원 (CV4), 기해 (CV6) 등이 사용되었고, 남성 성 기능 장애 치료에는 주로 관원 (CV4), 백회 (GV20), 삼음교 (SP6), 회종 (TE7), 태계 (KI3), 명문 (GV4), 신수 (BL23), 신문 (HT7), 내관 (PC6) 등이 사용되었다. 침 치료에 대한 일차 평가변수 분석 결과 FSFI, IIEF 등 성 기능 장애 평가 척도에서 침 치료는 욕망 (desire), 성욕 (libido), 발기 부전 (erectile dysfunction and impotency) 영역에서 성 기능 장애를 개선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대 이상 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침 치료는 인체 아데노신 A1 수용체에서 아데노신을 방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만성 염증성 질환의 염증 매개체를 조절하여 항염증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성 기능 장애 개선 관련 침 치료의 작용 기전으로 여겨진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대상 연구 수가 적어 정량적 및 메타분석적 결론을 내릴 수 없었으며, 관찰 연구와 중재 연구를 종합한 결과의 불명확성, 연구의 질이 낮다는 점이었다. 연구 결과는 침 치료가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성 기능 장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다만 침은 성 기능 장애 관리 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근거는 부족하므로 이를 위한 높은 수준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1999년부터 2016년까지의 남녀 성 기능 장애 대상으로 일반침, 전기침, 온열침 등 다양한 침 치료 방법으로 행해진 임상시험을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Scopus, CNKI 등에서 검색한 160여 개의 연구 중 13개의 임상시험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여성 성 기능 장애 치료에는 주로 공손 (SP4), 삼음교 (SP6), 음릉천 (SP9), 귀래 (ST29), 기충 (ST30), 족삼리 (ST36), 합곡 (ST43), 족임읍 (GB41), 소해 (HT3), 신문 (HT7), 소충 (HT9), 외관 (TE5), 천정 (TE10), 합곡 (LI4), 중극 (CV3), 관원 (CV4), 기해 (CV6) 등이 사용되었고, 남성 성 기능 장애 치료에는 주로 관원 (CV4), 백회 (GV20), 삼음교 (SP6), 회종 (TE7), 태계 (KI3), 명문 (GV4), 신수 (BL23), 신문 (HT7), 내관 (PC6) 등이 사용되었다. 침 치료에 대한 일차 평가변수 분석 결과 FSFI, IIEF 등 성 기능 장애 평가 척도에서 침 치료는 욕망 (desire), 성욕 (libido), 발기 부전 (erectile dysfunction and impotency) 영역에서 성 기능 장애를 개선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대 이상 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침 치료는 인체 아데노신 A1 수용체에서 아데노신을 방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만성 염증성 질환의 염증 매개체를 조절하여 항염증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성 기능 장애 개선 관련 침 치료의 작용 기전으로 여겨진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대상 연구 수가 적어 정량적 및 메타분석적 결론을 내릴 수 없었으며, 관찰 연구와 중재 연구를 종합한 결과의 불명확성, 연구의 질이 낮다는 점이었다. 연구 결과는 침 치료가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성 기능 장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다만 침은 성 기능 장애 관리 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근거는 부족하므로 이를 위한 높은 수준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이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