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본초의 하나입니다. 또한 약용으로 사용된 역사는 2000년 이상으로 매우 길며, 최초의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등재된 본초입니다.

전통적으로 황기가 주로 사용되었던 질환은 만성피로, 식욕상실, 빈혈, 상처회복, 발열, 알레르기, 자궁출혈, 자궁탈(uterine prolapse) 등 입니다.


잠깐의 한의학 상식입니다. 한약은 단순하게, 끓여서 입을 통해 마신다고 알기 쉽습니다.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으로 친숙한 황기는, 물에 잠긴 모습으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주사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황기 제제가 있다는 걸 알고 계십니까?! 현재 중국에서는 황기를 주사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칠, 황기 주사를 2형 당뇨병 치료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1].


분류법에 따르면, 황기는 콩과(Leguminosae) 황기속(Astragalus)에 속하는 황기(A. membranaceus)와 몽골황기(A. membranaceus var. mongholicus)의 뿌리를 의미합니다 [2]. 자생지는 중국의 북동, 북, 북서 지역 및 몽골과 한국입니다. 면역강화, 강장제의 효능으로 황기가 알려짐에 따라 소비가 증가되어 자연산은 점점 감소되고 있으며, 상업적 재배를 통해서 공급되는 실정입니다 [1].






1) triterpene saponins
2) isoflavonoids
3) 다당류
4) 20여 종의 미량원소(20여 종)


황기에는 100개 이상의 화합물(다당류,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과 미량원소 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1].








1. 강장작용
2. 면역조절 활성
3. 항-고혈당 활성(당뇨에 작용)
4. 항염증 활성
5. 항산화 효과
6. 항바이러스 활성
7. 혈압에 대한 효과
8. 항암작용


1) 강장작용
황기는 대표적인 강장제입니다. 한 임상연구는 단삼, 황기 추출물이 만성 피로 증후군에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합니다 [3]. 이외에도 소아의 보약인 황기건중탕, 수술 후 노인 등의 강장제인 보중익기탕 등에 황기가 포함됩니다. 또한 사람의 정자운동성을 증가(in vitro)시키며, 수컷 동물의 발정(in vivo, rats)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2].


2) 면역조절 활성
황기의 다당류는 특이-, 비특이- 면역을 활성화시켰으며, 몽골황기 물추출물의 주사는 선천성 심질환 소아의 면역기능을 개선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황기는 Th1/Th2 면역계 불균형을 개선하며, 세포자멸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1].


3) 항-고혈당 활성
또한 황기는 당뇨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재 중국은 황기를 주사 및 경구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몇몇 연구를 보면, 황기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억제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합니다 (당대사 및 지질대사의 조절) [1,4,5].


최근에는 당뇨병성 족부(DM Foot Ulcer)에 황기, 지황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 본초의 병행은 당뇨병성 족부에서 육아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고,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을 높였다고 보고됩니다. 특히 황기와 지황의 비율이 3:1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6,7,8].



주의사항



황기추출물은 안전하며, 특정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1]. 과잉복용의 경우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는 정도의 가벼운 부작용만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2].



참고문헌


[1] Fu J et al. Review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stragalus membranaceus (Huangqi). Phytother Res. 2014 Sep;28(9):1275-83. doi: 10.1002/ptr.5188. Epub 2014 Aug 2.


[2]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저. 생약학 개정 2판. 동명사, 2006.


[3] Cho JH et al. Myelophil, an extract mix of Astragali Radix and Salviae Radix, ameliorates chronic fatigue: a randomised, double-blind, controlled pilot study. Complement Ther Med. 2009 Jun;17(3):141-6. doi: 10.1016/j.ctim.2008.11.003. Epub 2009 Jan 23.


[4] 이선동, 박영철. 한약독성학 I(Toxicology for Herbal medicine I). 한국학술정보, 2013.


[5] Agyemang K et al. Recent Advanc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Anti-Diabetic Research: Pharmacological Effects of Its Phytochemical Constituen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654643. Epub 2013 Nov 17.


[6] Leung PC et al. Limb salvage in extensive diabetic foot ulceration: an extended study using a herbal supplement. Hong Kong Med J. 2008 Feb;14(1):29-33.


[7] Zhang Q et al.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human skin fibroblast cell line Hs27 induced by herbal formula Astragali Radix and Rehmanniae Radix. J Ethnopharmacol. 2011 Dec 8;138(3):668-75. doi: 10.1016/j.jep.2011.08.080. Epub 2011 Oct 30.


[8] Lau KM et al.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Astragali Radix and Rehmanniae Radix in a Chinese herbal formula to promote diabetic wound healing. J Ethnopharmacol. 2012 May 7;141(1):250-6. doi: 10.1016/j.jep.2012.02.025. Epub 2012 Feb 17.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