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본초의 하나입니다. 또한 약용으로 사용된 역사는 2000년 이상으로 매우 길며, 최초의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등재된 본초입니다.
전통적으로 황기가 주로 사용되었던 질환은 만성피로, 식욕상실, 빈혈, 상처회복, 발열, 알레르기, 자궁출혈, 자궁탈(uterine prolapse) 등 입니다.
잠깐의 한의학 상식입니다. 한약은 단순하게, 끓여서 입을 통해 마신다고 알기 쉽습니다.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으로 친숙한 황기는, 물에 잠긴 모습으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주사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황기 제제가 있다는 걸 알고 계십니까?! 현재 중국에서는 황기를 주사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칠, 황기 주사를 2형 당뇨병 치료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1].
분류법에 따르면, 황기는 콩과(Leguminosae) 황기속(Astragalus)에 속하는 황기(A. membranaceus)와 몽골황기(A. membranaceus var. mongholicus)의 뿌리를 의미합니다 [2]. 자생지는 중국의 북동, 북, 북서 지역 및 몽골과 한국입니다. 면역강화, 강장제의 효능으로 황기가 알려짐에 따라 소비가 증가되어 자연산은 점점 감소되고 있으며, 상업적 재배를 통해서 공급되는 실정입니다 [1].
1) triterpene saponins
2) isoflavonoids
3) 다당류
4) 20여 종의 미량원소(20여 종)
황기에는 100개 이상의 화합물(다당류,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과 미량원소 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1].
1. 강장작용
2. 면역조절 활성
3. 항-고혈당 활성(당뇨에 작용)
4. 항염증 활성
5. 항산화 효과
6. 항바이러스 활성
7. 혈압에 대한 효과
8. 항암작용
1) 강장작용
황기는 대표적인 강장제입니다. 한 임상연구는 단삼, 황기 추출물이 만성 피로 증후군에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합니다 [3]. 이외에도 소아의 보약인 황기건중탕, 수술 후 노인 등의 강장제인 보중익기탕 등에 황기가 포함됩니다. 또한 사람의 정자운동성을 증가(in vitro)시키며, 수컷 동물의 발정(in vivo, rats)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2].
2) 면역조절 활성
황기의 다당류는 특이-, 비특이- 면역을 활성화시켰으며, 몽골황기 물추출물의 주사는 선천성 심질환 소아의 면역기능을 개선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황기는 Th1/Th2 면역계 불균형을 개선하며, 세포자멸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1].
3) 항-고혈당 활성
또한 황기는 당뇨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재 중국은 황기를 주사 및 경구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몇몇 연구를 보면, 황기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억제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합니다 (당대사 및 지질대사의 조절) [1,4,5].
최근에는 당뇨병성 족부(DM Foot Ulcer)에 황기, 지황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 본초의 병행은 당뇨병성 족부에서 육아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고,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을 높였다고 보고됩니다. 특히 황기와 지황의 비율이 3:1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6,7,8].
황기추출물은 안전하며, 특정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1]. 과잉복용의 경우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는 정도의 가벼운 부작용만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2].
참고문헌
[1] Fu J et al. Review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stragalus membranaceus (Huangqi). Phytother Res. 2014 Sep;28(9):1275-83. doi: 10.1002/ptr.5188. Epub 2014 Aug 2.
[2]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저. 생약학 개정 2판. 동명사, 2006.
[3] Cho JH et al. Myelophil, an extract mix of Astragali Radix and Salviae Radix, ameliorates chronic fatigue: a randomised, double-blind, controlled pilot study. Complement Ther Med. 2009 Jun;17(3):141-6. doi: 10.1016/j.ctim.2008.11.003. Epub 2009 Jan 23.
[4] 이선동, 박영철. 한약독성학 I(Toxicology for Herbal medicine I). 한국학술정보, 2013.
[5] Agyemang K et al. Recent Advanc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Anti-Diabetic Research: Pharmacological Effects of Its Phytochemical Constituen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654643. Epub 2013 Nov 17.
[6] Leung PC et al. Limb salvage in extensive diabetic foot ulceration: an extended study using a herbal supplement. Hong Kong Med J. 2008 Feb;14(1):29-33.
[7] Zhang Q et al.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human skin fibroblast cell line Hs27 induced by herbal formula Astragali Radix and Rehmanniae Radix. J Ethnopharmacol. 2011 Dec 8;138(3):668-75. doi: 10.1016/j.jep.2011.08.080. Epub 2011 Oct 30.
[8] Lau KM et al.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Astragali Radix and Rehmanniae Radix in a Chinese herbal formula to promote diabetic wound healing. J Ethnopharmacol. 2012 May 7;141(1):250-6. doi: 10.1016/j.jep.2012.02.025. Epub 2012 Feb 17.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