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K 13-01.jpg



이른 봄이면 야산에 지천으로 널려있는 것이 우리 말로는 개별꽃 즉, 태자삼(太子參)이다. 이 식물은 여러해살이 식물로 키는 10-15cm, 잎은 4엽이며 돌려난다. 꽃은 희고 대개 꽃잎은 4개인데 작은 검은 점을 1개 달고 있다. 뿌리를 캐보면 육질이 많고 비교적 길게 뻗어 있다. 이 약의 어원은 잘 모르나 약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청나라 때 <본초종신 本草從新>과 <본초강목습유 本草纲目拾遗>에서부터 약으로 써 왔다. 한국인은 이것이 약용인 줄도 모르고 지나쳐 버리지만 중국인들에게는 좋은 보약으로 이름이 높아 시장통을 가다가도 판매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기원
석죽과에 속한 태자삼 Pseudostellaria hetenophylla의 뿌리이다.


약성
달고 약간 쓰며, 약간 찬 편이다.


귀경
비경과 폐경으로 들어간다.


성분
palmitic acid, linoleic acid, glycenal 1-monolinolate, behenic acid, 2-mina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효능
익기생진(益氣生津), 보비윤폐(補脾潤肺)시키므로,
- 소화기가 약하여 늘 소화불량이 오고 식욕이 떨어지며 좋은 음식이 있어도 입맛이 없을 때,
- 식은땀이 자주 나며 매사에 기운이 달리는 증상이 있을 때,
- 감기 후에 기운이 달리고 입안이 건조하며, 내열이 있을 경우,
- 때로는 신경쇠약으로 가슴이 뛰고 잠을 못 자는 증상에,
- 머리가 어지럽고 건망이 있어 잘 잊어버릴 때,
- 어린아이가 여름에 여름을 타는 증상에 사용된다.


ADK 13-02.jpg


임상응용
1. 비위허약 증상인 식욕감퇴와 소화불량, 음식을 보면 식욕이 나는 것이 아니라 거식감을 느끼면 황기(黃芪) 20g, 태자삼(太子參) 15g, 백출(白朮) 12g, 사인(砂仁) 4g, 지각(枳殼) 12g, 맥아(麥芽) 8g, 감초(甘草) 2g을 사용하면 보기익기(補氣益氣)시키면서 건위(健胃), 소화 촉진, 식욕 증가 작용을 얻게 한다.


2. 비위 허약하며 음식의 맛을 모르고 먹거나 권태감을 갖게 되면 황기(黃芪) 20g, 태자삼(太子參) 산약(山藥) 각 15g, 백편두(白扁豆) 곡아(穀芽) 각 8g으로 건위(健胃) 및 식욕 촉진 작용을 얻게 한다. 여기서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재료를 넣었다고 잘 못 생각하는 이가 있겠으나 산약(山藥)은 건위(健胃) 및 식욕 촉진 작용이 현저한 약이다.


3. 페허 증상과 기음(氣陰)이 모두 상실된 증상으로 기침을 연달아하고 가래는 적으며 기운이 떨어지고 힘이 달리며 때로 호흡 장애를 느끼면 태자삼(太子參) 15g, 사삼(沙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자완(紫菀) 각 8g, 패모(貝母) 6g, 보폐익기(補肺益氣), 음기를 보양하는 작용으로 폐를 치료하는 명약이 된다.


4. 감기 후에 미열 기력이 허약하고, 내열이 있으면서 구갈(口渴)이 있으면 태자삼(太子參) 12g, 생지황(生地黃) 30g, 지모(知母) 맥문동(麥門冬) 각 8g. 현삼(玄蔘) 감초(甘草) 4g으로 기운을 얻게 하고 지갈생진(止渴生津) 작용을 나타낸다.


5. 소위 기음(氣陰)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가슴 뛰고 잠을 못 자면서 허황된 생각을 하게 되면, 태자삼(太子參) 산조인(酸棗仁) 15g, 오미자(五味子) 맥문동(麥門冬) 용안육(龍眼肉) 백출(白朮) 각 4g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기력을 얻게 하면서 수면을 유도하게 한다.


6. 몸이 허약하여 땀이 많고 피부가 연약하며 기운도 없는 증상에 황기(黃芪) 태자삼(太子參)  만삼(蔓蔘) 각 18g, 맥문동(麥門冬) 15g, 오미자(五味子) 부소맥(浮小麥) 각 8g으로 피부를 견실하게 유도하고 모공을 수축시키면서 기력을 올려야 근본적인 치료가 된다.


7. 허열(虛熱) 제거, 소아가 여름에 미열이 지속되면서 짜증이 잦은 증상에 태자삼(太子參) 사삼(沙參) 15g, 석곡(石斛) 12g, 백미(白微) 청호(靑蒿) 8g, 현삼(玄蔘) 감초(甘草) 4g으로 허열 제거 및 기력 상승 효과를 얻게 한다.


8. 신경쇠약에 태자삼(太子參) 15g, 당귀(當歸) 산조인(酸棗仁)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용안육(龍眼肉) 각 8g으로 마음을 진정시키면서 기력 증강 작용을 얻게 한다.


9. 병후 허약 진액이 소진되어 구갈을 느끼는 증상에 태자삼(太子參) 15g, 생지황(生地黃) 30g, 작약(芍藥) 옥죽(玉竹) 각 10g, 오미자(五味子) 8g, 감초(甘草) 4g을 사용한다.


10. 심계, 정충 증상에는 태자삼(太子參) 연자육(蓮子肉) 각 15g, 사삼(沙參) 단삼(丹蔘) 고삼(苦蔘) 각 8g,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당귀(當歸) 각 8g으로 심기를 진정시키면서 심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기력도 상승시키게 된다.


용량
10-20g


금기
열이 많은 증상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