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칼럼에서
"약선설계로 만들어진 ‘약선 초교탕’ Recipe를 이안평가[1]하면 선상이 반드시 발열이고 선상치는 650과 750사이의 수치이어야 한다, 그러나 ‘전통요리 초교탕’의 재료 중 방제학적으로 타당한 경험적 재료들까지 첨가한 최종 Recipe를 이안평가 한 결과는, 선상이 무엇이든 상관없고, 오직 선상치만 650과 750 사이의 수치이면 된다."
라고 하였는데, 이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문답식으로 요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2. 약선설계로 만들어진 Recipe에 대한 이안평가 시
선상과 선상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약선설계’라는 것이, 이 분야에 대한 고전의 임상경험이 없어, 철저히 ‘논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3. 경험적 재료가 첨가된 Recipe에 대한 이안평가 시
선상은 무엇이든 상관없고, 오직 선상치만 조건에 맞추는 까닭이 무엇인가?
다음 문장들은 질문3에 대한 해답이 될 뿐만 아니라 질문1과 질문2의 답변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1) 생명체들의 조합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는 장구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온 경험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사람들이 식품을 먹고 살지만 사람이나 식품이 모두 생명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어떤 식품끼리 만나면 어떻게 된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사람끼리 만나서 사는 것도 논리적으로 설명된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논리적으로 매우 합당한 사람끼리 동업을 해도 끝까지 동업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흔치 않다는 일례만 보아도 사람 사이의 관계가 논리보다는 오랜 기간의 경험이 훨씬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천연 동식물을 재료로 사용하는 한방 처방이나 식품 처방인 식치방(食治方)은 수백 년 동안의 임상 경험을 거쳐서 완성된다. 사람끼리도 오랫동안 살아봐야 알듯이 음식의 인체에 대한 영향도 장구한 세월 동안의 식용 경험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것이다.
(2) 그러나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어떤 재료들을 섞어야 맛도 좋으면서 효능도 유지되는가에 대한 임상적 경험은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와 현대의 사회적 욕구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다. 현대의약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무수한 질병으로 더 이상 쓸 수 없을 때까지 약물을 복용하고 벼랑 끝에 몰린 환자들이 자연을 찾아 요양하면서 바라는 것은 음식이지 약이 아니다. 인공으로 만들었든 천연동식물이든 ‘약’이라면 진저리를 치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맛이 좋아야 한다. 그런데 이럴 필요가 없었던 고대에는 오직 효능과 관련되는 임상 경험(식치방)만 중요하지, 맛을 내면서 효능을 유지하는 방법 따위는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3) 그러므로 비록 ‘경험’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가장 합리적인 자연관에 입각한 ‘논리’로써 부족한 ‘경험’을 보완하여 의도대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맛이 좋은 음식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목적으로 새로운 방법이 만들어지고 세월이 흐르면서 발전된 것이 곧 "약선설계학"이다.
임상적 경험이 없다고 수백년을 기다릴 수는 없다. 비록 ‘경험’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그 경험의 결과에 가장 근접하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식품 조합에 관한 ‘논리’가 반드시 필요했다. 게다가 이 지구상에, 장구한 세월 동안 임상 경험을 생명체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불변의 자연관을 기본으로 하는 논리적 틀 안에 끌어들여, 수천년을 이어 온 한의학이 있다는 것은 진정 비할 바 없는 축복이다. 그런 배경과 필요 욕구가 “약선설계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약선설계학은 아무리 발전하고 정교해져도 결국 ‘논리’에 불과하다는 한계성이 있다. 결코 ‘경험’과 대등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약선설계학적으로 만들어진 처방에 대한 이안평가는 주어진 조건을 철저히 만족하도록 해야만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약선설계학적으로 만들어진 약선 초교탕 Recipe에 대한 이안평가의 결과도 역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하므로 선상이 반드시 ‘발열’이고 선상치는 650과 750 사이의 수치이어야 한다고 한 것이다.
(4) 장구한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먹고 살아 온 전통요리 속의 재료 중 방제학적으로 신(臣)이나 좌사(佐使)에 해당되는 재료가 있다면 그 중량만 적합하게 조절하여 약선의 신(臣)이나 좌사(佐使)로 사용할 수 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전해지는 전통요리는 일반 사람들의 생활 속에 오랜 세월 동안 젖어들어 오면서 절대다수에게 유익하도록 조절된 음식이다. 비록 특정 소수의 상태에만 적합하도록 처방된 치료식은 아니지만 방제학적으로 군신좌사(君臣佐使)를 구별해보면 전체의 성질이 편향되지 않도록 좌사(佐使)가 절묘하게 안배된 경우가 적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또한 ‘경험’의 산물이므로 동일한 Recipe를 약선으로 설계할 때 당연히 좌사(佐使)로 쓸 수 있다. 게다가 ‘논리’보다 우선하는 ‘경험’이므로 이안평가 시 첨가 재료에 대한 ‘논리적 조건’인 약상(藥象)이나 선상(膳象)은 무시해도 상관없고 오직 선상치(膳象値)만 범위 안에 들게 하면 된다. 선상치를 맞추어 가면서 첨가하는 재료의 중량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구글 앱 "약선설계 이안평가"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