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및 기관: 유진실 (자생한방병원), 김은산 (자생척추관절연구소), 박경선 (자생한방병원), 이윤재 (자생척추관절연구소), 박연철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침구과), 남동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김은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학교실), 하인혁 (자생척추관절연구소)

발표 저널: BMJ Open

원문 링크: https://pubmed.ncbi.nlm.nih.gov/38056939/


섬유근육통 환자…여성이 남성의 2배, 60세 이상에서 증가세 뚜렷

자생한방병원, 국내 섬유근육통 환자 의료 이용 현황 분석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유진실 한의사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활용해 국내 섬유근육통 환자의 특성과 의료 이용 현황을 분석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BMJ Open (IF=2.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총 8년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자료 (HIRA-NPS)를 활용해 연간 1회 이상 섬유근육통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3만 1,059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먼저 환자들의 성별과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1만 492명, 여성이 2만 567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2배 가까이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 환자의 증가세가 약 11%로 연령층 가운데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동반되는 질환 (복수 응답)의 경우 허리 통증과 골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비중도 갈수록 증가했다. 허리 통증은 2011년 1,875건 (42.1%)에서 2018년 1,902건 (55.9%)으로 13.8%p, 골관절염은 1,497건 (33.6%)에서 1,574건 (46.3%)으로 12.7%p 각각 증가했다. 정신적 장애로는 우울증과 불안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 내원 형태의 경우 외래 환자 비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입원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의료기관별 환자 100명당 방문 횟수를 분석한 결과 한의원·한방병원이 평균 40.7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형외과 (25.5회)와 내과 (16.5회)가 뒤를 이었다. 또한 비약물 치료 처방의 경우에는 침 치료가 평균 40.5회로 일반 물리 치료 (16.8회)보다 앞섰다.


연구팀은 섬유근육통에 대한 약물 처방률과 처방 기간에 대한 분석도 진행했다. 특히 진통제로서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 (NSAIDs)를 처방받는 환자들의 비율이 크게 늘었으며, 진통제와 항우울제 등의 약물을 3가지 이상 혼합 처방받는 비율도 함께 증가했다. 특히 대부분 약물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처방률과 긴 처방 기간을 보였고, 혼합 처방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여성이 상대적으로 심리적 증상과 근골격계 통증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진실 한의사는 “이번 연구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섬유근육통 환자의 의료 현황을 장기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라며 “향후 섬유근육통의 한의임상진료지침 수립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민족의학신문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57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