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월 24일은 세계 결핵의 날(World Tuberculosis Day) 이다.
결핵은 후진국 병으로 인식되지만 한국의 결핵은 ‘현재 진행형'으로 새로운 환자가 연간 4만 명, 사망자는 2,300명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 발병되는 결핵의 특징은 여전히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 외에 두 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20~30대 젊은 층에 결핵 환자가 많다는 것이다 이들은 결핵을 전염시킬 가능성이 훨씬 클 뿐 아니라 비록 결핵이 완치되었다 하더라도 나이 들어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재발할 수 있다.
또 하나는 70세 이상 노인층에서 결핵 환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사회 추세에 따라 면역력이 떨어지는 노인 인구가 많아지다 보니 발병자 숫자도 비례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한국의 결핵 양상이 선진국형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결핵 환자군은 한국처럼 많지는 않지만 고령층에 집중되고 있다.
제3군 법정 감염병인 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침, 비말핵(결핵균이 들어 있는 입자)에 의하여 감염된다. 전염성이 강하고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결핵에 감염되면 기침, 가래, 혈담(피가 섞인 가래), 발열, 발한, 식욕부진 등의 증상으로 체중이 감소하며 심하면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동반된다.
현재 결핵 환자에 사용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결핵 치료법은 아이나,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4가지 약물을 두 달간 매일 복용한 후, 이후 피라진아마이드를 제외한 3가지 약물을 4개월에서 7개월 정도까지 추가로 복용하는 표준 단기 화학요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결핵균의 수를 치료 초기에 급속히 감소시켜 약제 내성균의 출현 기회를 뺏고, 대식세포 내 결핵균이나 서서히 증식하는 균을 박멸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현재 아이나,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내성인 균에도 유효하고 치료 실패율이 낮으면서 재발 시에도 다시 처음 처방으로 재치료가 가능하여 치료 탈락자의 감소 효과도 있다.
KMCRIC에서는 세계 결핵의 날을 맞아 약물상호작용 DB에 수록된 결핵 관련 허브와 약물의 상호작용 15건 을 모아 정리했다.
제목을 클릭하면 약물상호작용 DB에서 전체 내용을 볼 수 있으며, 참고문헌은 해당 논문의 PubMed로 링크시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 아르기닌(Arginine)과 항생제(Antibiotics)의 상호작용

In human research, L-arginine had antibacterial effects in patients with tuberculosis [12;13].
임상 연구에서 L-아르기닌은 결핵 환자에게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12;13].
[12] Ralph, A. P., Kelly, P. M., and Anstey, N. M. L-arginine and vitamin D: novel adjunctive immunotherapies in tuberculosis. Trends Microbiol. 2008;16(7):336-344.
[13] Abba, K., Sudarsanam, T. D., Grobler, L., and Volmink, J. Nutritional supplements for people being treated for active tuberculo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4):CD006086.
2. 월계수잎(Bay leaf)과 항생제(Antibiotics)의 상호작용

In laboratory study, Laurus nobilis L. essential oil exhibited strong, dose-depend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faecali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Chromobacterium violaceum,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5;6;7;8;9;10;11;12].
실험실 연구에서, 월계수의 정유는 황색포도상구균, 장내구균, 여시니아엔테로콜리티카, 리스테리아균, 크로모박테리움 바이오라세움,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구균 (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VRE), 그리고 결핵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세균에 대해 강력하고 용량 의존적인 항균작용을 나타냈다 [5;6;7;8;9;10;11;12].
3. 커민(Cumin)과 항생제(Antibiotics)의 상호작용

In animals, cumin enhanced the bioavailability of rifampicin, a drug used to treat tuberculosis, and produced an enhancement of rifampicin levels in rat plasma [3].
동물에게서, 커민은 결핵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인 리팜피신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쥐의 혈장에서 리팜피신 수치가 향상되었다 [3].
4. 엽산(Folate)과 아미노살리실산(Aminosalicylic acid)의 상호작용

Based on secondary sources, aminosa licylic acid may reduce dietary folate absorption, worsening the folate deficiency often seen with active tuberculosis, or preventing its reversal during treatment. Megaloblastic anemia occurs rarely and usually when there are other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concurrent vitamin B12 malabsorption. Patients being treated for tuberculosis may be advised to take folic acid supplements if their dietary folate intake is low.
2차 출처에 따르면, 아미노살리실산은 종종 활동성 결핵에서 나타나는 엽산 결핍을 악화시키거나 치료 기간 동안의 역전을 막음으로써, 식이성 엽산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드물게 일어나며 보통 비타민 B12 흡수 장애와 같은 다른 요인이 있을 때 함께 발생한다. 결핵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식이 엽산 섭취가 부족한 경우 엽산보충제를 섭취할 것을 권한다.
5. 엘-카르니틴(L-carnitine)과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ants)의 상호작용

Acetyl-L-carnitine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for 30 days upregulated T cell-dependent antibacterial activity, which decreased in patients receiving placebo only [293;294].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게 30일간 아세틸-L-카르니틴 투여는 T세포 의존성 항균 활성을 상향 조절시켰고, 위약만을 투여한 환자에게서는 감소시켰다 [293;294].
6. 라벤더(Lavender)와 항생제(Antibiotics)의 상호작용

In vivo studies suggest that lavender oil may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various strains of nontubercular mycobacteria [20] and bo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21].
생체 내 연구는 라벤더 오일이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의 다양한 균주 [20] 그리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RSA)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VRE) 둘 다 [21]에 대한 예방 효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7. 멜라토닌(Melatonin)과 이소니아지드(Isoniazid)의 상호작용

In vitro, melatonin increased the effects of isoniazid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427].
In vitro 실험에서, 멜라토닌은 결핵균에 대한 이소니아지드의 효과를 증대시켰다 [427].
8. 모링가(Moringa)와 항결핵제(Antituberculosis agents)의 상호작용

In rodents, Moringa oleifera pod extract and leaf extract protected against damage induced by antitubercular drugs, such as isoniazid, rifampicin, and pyrazinamide, by altering levels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lkaline phosphatase, and bilirubin in the serum and also increasing antioxidants,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levels in the liver [59;60;61].
설치류에게서, 모링가 껍질과 잎 추출물은 혈청의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랜스아미나제,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및 빌리루빈의 수치를 변화시키고 간의 항산화제, 지질 및 지질 과산화 수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 및 피라진아미드와 같은 항결핵제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했다 [59;60;61].
9. 콩(Soy)과 항생제(Antibiotics)의 상호작용

In clinical research, consumption of soy-based foods by humans with tuberculosis increased the tolerance of antimicrobial agents [5].
임상 연구에서, 결핵을 앓는 사람이 콩으로 만든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항균제 내성을 증가시켰다 [5].
10. 피리독신(Vitamin B6)과 사이클로세린(Cycloserine)의 상호작용

Cycloserine, an antibiotic prescribed for tuberculosis, may affect the metabolism of pyridoxine [24].
결핵의 처방인 항생제 사이클로세린은 피리독신 (비타민 B6)의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4].
[24] Matsui, M. S. and Rozovski, S. J. Drug-nutrient interaction. Clin Ther. 1982;4(6):423-440.
11. 피리독신(Vitamin B6)과 하이드라진(Hydrazines)의 상호작용

Pyridoxal-5-phosphate plasma concentrations were depressed in children receiving tuberculosis chemotherapy including isoniazid [40].
아이소나이아지드를 포함한 결핵 화학요법을 받는 아동에게서 혈장 피리독살-5-인산염 농도가 감소되었다 [40].
12. 아스코르브산(Vitamin C)과 비타민 E(Vitamin E)의 상호작용

In male smokers who had high dietary intakes of vitamin C, vitamin E supplementation was linked to an increased risk of tuberculosis [58].
비타민 C를 다량 섭취하는 남성 흡연자에게서, 비타민 E의 섭취는 결핵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58].
13. 비타민 D(Vitamin D)와 백신(Vaccines)의 상호작용

The Bacille Calmette-Guérin (BCG) vaccine, a live vaccine developed to prevent tuberculosis (TB), has also been shown to influence vitamin D concentrations and enhance the immune response of the vaccine [80;81;82]. Mycobacterial antigens in the vaccine may increase production of 25-hydroxylase enzymes, resulting in increased production of 25-hydroxyvitamin D [82].
결핵 (TB)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생백신 BCG는 인체 내의 비타민 D 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백신에 의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80;81;82]. 백신 내에 있는 결핵균의 항원이 25-hydroxylase 효소 생산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25-hydroxyvitamin D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82].
14. 백후추(White pepper)와 리팜핀(Rifampin)의 상호작용

Based on a study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piperine may increase plasma concentrations of rifamipicin (rifampin) [81;87].
폐결핵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피페린은 리팜피신 (리팜핀)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81;87].
15. 회향(Fennel)과 항균제(Antibacterials)의 상호작용

In various studies, fennel display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pathogens such as Mycobacterium tuberculosi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pp.,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 Helicobacter pylori, and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다양한 연구에서, 회향은 결핵균, 대장균, 리스테리아균, 고초균, 살모넬라균, 시겔라 디젠테리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캠필로박터 제주니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다중 약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과 같은 병원균에 대해 항균 작용을 나타냈다 [7].
[7] Camacho-Corona, Mdel R., Ramirez-Cabrera, M. A., Santiago, O. G., Garza-Gonzalez, E., Palacios, Ide P., and Luna-Herrera, J. Activity against drug resistant-tuberculosis strains of plants used in Mexica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tuberculosis and other respiratory diseases. Phytother Res. 2008;22(1):8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