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얼굴 표정이 평소와 달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마 주름이 잘 잡히지 않고, 눈꺼풀을 감는 것도 어색합니다.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안면마비’일 가능성이 커서 진료가 필요합니다.
‘안면마비’는 이름처럼 ‘안면이 마비된 증상’입니다. 원인은 크게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뉩니다. 중추성은 뇌출혈‧뇌경색 등 뇌 자체의 문제에 의한 것이고, 말초성은 중추인 뇌를 빠져나온 말초신경인 안면신경 문제로 발생한 것입니다.
안면마비는 눈에 본격적인 증상이 발생하기 전 전조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증상이 나타나면 72시간 내에 치료받아야 경과가 좋습니다.
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안면마비센터) 강중원 교수의 자문으로 두 가지 안면마비 종류 중 ‘말초성 안면마비’의 원인과 특징, 치료‧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말초성 안면마비’ 2가지 종류 & 특징
말초성 안면마비는 발병 원인에 따라 크게 ‘벨마비’와 ‘람세이헌트 증후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의 차이점은 바이러스 종류입니다.
벨마비는 특별한 원인 없이 나타나서 특발성이라고도 합니다. 최근 밝혀진 연구에 따르면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기도 합니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강중원 교수는 “수포나 극심한 통증 등 대상포진의 특성을 보인다”라며 “일반적으로 벨마비보다 람세이헌트 증후군이 중증도가 높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벨마비 vs 람세이헌트 증후군
① 벨마비
- 특별한 원인 없이 나타나 특발성이라고도 부름
- 최근 연구 결과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기도 함
② 람세이헌트 증후군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작용
- 수포, 극심한 통증 등 대상포진 특성 보여
- 람세이헌트 증후군이 벨마비보다 중증도 높아
기억해야 할 전조 증상 & 조기 치료 중요성
안면마비 발생 전 감지할 수 있는 주요 전조 증상 몇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이후통’입니다. 발병 며칠 전부터 귓바퀴 뒤편 밑쪽에 있는 엄지손가락 윗마디 크기의 뼈 (유양돌기)에 통증을 느낍니다.
또 미각 저하도 나타납니다. 발병 2~3일 전부터 미각이 저하되는데, 밥맛이 없는 현상이 아니라, 혀에서 느껴지는 미각 자체가 둔해지는 증상입니다. 물론 이 같은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안면마비로 연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안면마비 치료는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치료 시간이 늦어질수록 계속 증상이 악화하기 때문입니다. 안면마비가 발생했을 때 환자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는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찾아,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것입니다.
침구과 강중원 교수는 “안면마비는 발병 후 골든타임인 72시간 내에 잘 치료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경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라며 “하지만 72시간까지 기다리지 말고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서 치료받는 것이 가장 좋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안면마비 2가지 전조 증상
① 이후통
- 귓바퀴 뒤편 밑쪽 뼈에 통증 발생
- 안면마비 발병 며칠 전부터 느껴
② 미각 저하
- 혀에서 느껴지는 미각 자체가 둔해져
- 안면마비 발병 2~3일 전부터 미각 저하
환자 나이‧상태에 따라 회복 시기 달라
안면신경 마비는 환자마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손상 정도 등이 모두 달라서 회복 시기를 일률적으로 정량화하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증이 아닌 보통 수준의 안면마비는 초기부터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면 발병 후 2개월에서 2개월 반 정도 치료 기간이 소요됩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이보다 시간이 짧을 수도 있고 중증인 경우에는 두 달 반의 시간 이후에도 전부 회복되지 않고 후유증이 남기도 합니다. 때문에 환자 연령대가 높거나 체력‧상태 등에 따라 치료 시기는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강중원 교수는 “안면마비는 일상생활 속 관리법보다 발병을 막기 위한 예방이 더 중요하다”라며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육체적 피로가 지속할 때, 큰 병을 앓고 허약해질 때처럼 전반적인 면역이 떨어지면 발병 가능성이 높아져서 관리가 중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안면마비 발병 전 관리 필요한 상태
- 신적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 육체적 피로가 지속할 때
- 큰 병을 앓고 허약해질 때
안면마비를 예방하려면 우선 전반적인 건강을 회복해야 합니다. 막연하게 느껴지는 방법이지만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식사 및 수면의 양과 질을 확보하고, 과도한 스트레스로부터 스스로를 지켜야 합니다. 또 육체적 피로가 한 번에 누적되지 않게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력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출처: 네이버 경희대학교병원 포스트 https://blog.naver.com/khmcpr/223023168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