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발생 이후 국외 학계에서는 학문 분야별로 연구 논문의 작성과 출판의 변화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자들이 인식하는 COVID-19와 연구 생산성 및 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COVID-19의 영향력은 연구자마다 동일할까요?



COVID-19 이후 연구 활동과 정신적 건강 설문조사


전체 1,901명의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가운데 남성이 약 65%, 기혼인 경우 75%, 35-44세의 연령대 약 41%, 인문사회 전공자 약 36%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음.


동향분석-[NRF 동향]-img-01.jpg



COVID-19 이후 일상생활 변화


COVID-19 이후 빨래, 청소와 같은 집안일이 늘어났다는 응답이 95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 준비 및 강의 활동과 18세 미만의 육아 활동이 늘어났다고 응답한 연구자는 각각 799명과 717명으로 나타남.



동향분석-[NRF 동향]-img-02.jpg



전체 응답자들이 가사 시간에 사용한 하루 평균 시간은 COVID-19 발생 전에는 2.36 시간이었던 반면 발생 후에는 3.42 시간으로 증가하였으며,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z=30.62, p=0.000).



동향분석-[NRF 동향]-img-03.jpg



원격 근무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인터넷 접속 불안정이 가장 높은 요소로 제시되었으며, 그다음으로는 집안 가사, 일상 육아, 아이 돌보기 등의 순으로 나타남.



동향분석-[NRF 동향]-img-04.jpg



미성년자를 양육하는 연구자 806명을 대상으로 주변에 대한 지원을 조사한 결과, 배우자와 번갈아 양육하고 있다는 응답이 47.1%로 가장 높지만 양육 지원이 전혀 없다는 응답도 16.7% 차지함.



동향분석-[NRF 동향]-img-05.jpg



COVID-19 이후 감소한 연구 활동


연구 관련 활동 가운데 ‘매우 감소’ 또는 ‘감소’로 응답한 빈도 가운데 특히 논문 제출 (853명)과 논문 심사 (823명)가 활동 건수가 감소했다는 응답 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남.



동향분석-[NRF 동향]-img-06.jpg



COVID-19 발생 이후 연구자의 약 66%의 응답자가 COVID-19 기간 동안 연구 성과가 감소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동향분석-[NRF 동향]-img-07.jpg



성별·학문 분야별 연구 활동과 연구 성과의 비교를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남성 연구자의 연구 활동이 여성 연구자보다 더 활발한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08.jpg



혼인 상태별·학문 분야별 연구 활동과 연구 성과의 비교를 분석한 결과 자연과학·공학 분야에서 미혼인 경우 연구 활동과 연구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09.jpg



연령별·학문 분야별 연구 활동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과학 및 자연과학·공학 분야의 경우 25-34세가 다른 연령대보다 상대적으로 연구 활동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10.jpg



연령별·학문 분야별 연구 성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과학은 65세 이상, 자연과학·공학 분야의 경우 25-44세가 다른 연령대보다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11.jpg



COVID-19 이후 정신적 건강 변화 수준


응답자의 48.4%에 해당하는 920명의 응답자가 COVID-19 기간 동안 정신적 건강 상태가 악화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이와 달리 오히려 전염병 확산 시기에 정신적 건강이 개선되었다는 응답률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246명으로 응답자의 약 12.9%에 달함.



동향분석-[NRF 동향]-img-12.jpg



연구자의 특성별·학문별로 정신적 건강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연과학·공학 분야에서 기혼 연구자가 정신적 건강 수준이 통계적으로 더 악화한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13.jpg



연구자의 연령별·학문 분야별로 정신적 건강 수준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학문별로 정신적 건강 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연령 수준이 다름.


인문사회과학은 65세 이상, 자연과학·공학은 25-34세, 의약학은 45-54세의 연구자가 동일 학문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건강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됨.



동향분석-[NRF 동향]-img-14.jpg



정책적 시사점


미성년 아이를 돌보는 연구자에 대해서는 승진 또는 정년 보장 심사를 유예할 수 있는 제도 (stopping tenure clock)를 확대할 필요

→ COVID-19 이후 주로 집안일, 강의 준비, 육아 활동 등이 증대되었으며, 연구자들이 소요하는 하루 평균 가사 시간도 유의미하게 증가


학문별로 COVID-19의 영향력을 세분화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큰 연구집단에 대한 지원 방안 검토 요구

→ 특히 자연과학·공학 분야의 기혼 여성 과학 인력들을 위해 일과 가정의 충돌을 예방하고, 성과 및 경력개발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증설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상담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필요

→ 연구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시행 및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COVID-19로 인해 악화한 정신적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



출처: http://webzinenrf.breezesoft.kr/nrf_2201/sub_2_02_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