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아세틸화 수식이 천연 면역 조절 영향 메커니즘 연구 발표
Histone deacetylase 3 promotes innate antiviral immunity through deacetylation of TBK1
인간이 가지는 원래의 면역 반응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신체의 첫 번째 방어선으로서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고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단백질 합성 후에 일어나는 번역 후 변형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신체 내에서 다양한 경로에서 신호 분자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데 광범위하게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 히스톤 아세틸화는 단백질 안정성, 효소 활성, 세포 내 위치 및 단백질-단백질 / DNA 상호 작용을 조절하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비 히스톤 아세틸화 변형 기능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다른 PTM과 아세틸화에 의한 면역 반응에서 신호 분자 활성의 조절은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생물 안정성 메가 연구센터의 바이러스 국가 중점 연구실의 Chen Jizheng과 Chen Xinwen 팀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반응을 촉매 하는 HDAC3가 내부 및 외부 수준에서 신체 면역 반응을 상향 조절하고 신호 경로에서 TBK1(TANK-binding kinase 1)에 작용하며 인테페론 I형의 생산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처음으로 바이러스 감염 단계에서 TBK1의 활성화가 PTM 후 아세틸화의 동적 조절을 수반하면서 처음에는 강화지만 이어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AC3는 TBK1의 Lys241 및 Lys692 부위를 직접 탈아세틸화하여 TBK1의 kinase 효소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BK1의 Lys241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은 바이러스 자극 초기 단계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다음 면역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에 따라 감소한다.
이어진 연구에 따르면 TBK1의 Lys241에서의 아세틸화는 TBK1과 IRF3 간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Lys241에서의 탈아세틸화는 IRF3를 인산화하는(phosphorylation) TBK1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연구는 또한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 수준이 처음에 증가했다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TBK1 Lys692 부위의 아세틸화 변형은 TBK1 이량체(dimer)의 활성화와 자체 kinase 활성을 억제한다. HDAC3는 TBK1을 탈 아세틸 화하여 TBK1의 kinase 활성을 향상시킵니다. kinase로서 TBK1은 HDAC3의 Ser424 부위를 인산화하여 아세틸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관련 결과는 Histone deacetylase 3 promotes innate antiviral immunity through deacetylation of TBK1 제목으로
관련연구자: Ji-zheng Chen
관련기관: State Key Laboratory of Virology, Wuhan Institute of Virology, Center for Biosafety Mega-Scienc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과학기술분류: 보건의료,생명과학,화학
본문키워드(한글): 면역체계, 히스톤 탈아세틸화, 번역
본문키워드(영문): Immune system, histone deacetylation, translation
원문언어: 중국어
국가: 중국
원문출판일: 2020-08-28
출처: http://www.cas.cn/syky/202008/t20200827_4757342.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