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논문 요약 및 비평 보기
회복기 뇌졸중 환자에게 맞춤형 좌식 태극권을 운동 요법으로 제공하면 상지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Zhao J, Chau JPC, Chan AWK, Meng Q, Choi KC, Xiang X, Zhao Y, He R, Li Q. Tailored Sitting Tai Chi Program for Subacute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22 Jul;53(7):2192-203. doi: 10.1161/STROKEAHA.121.036578.
single-blind (assessor-blind) RCT, multi-center (2 centers)
아급성기 뇌졸중 생존자를 위한 맞춤형 좌식 태극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회복 효과 평가
중국 쿤밍 거주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160명 (시험군 80명, 대조군 80명)

선정 기준​
- 뇌경색으로 진단받은 18세 이상의 환자
- 생애 최초로 발병한 뇌경색
- 쿠션을 이용하거나/이용하지 않거나 스스로 앉은 자세를 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최소한 한 팔을 들거나 움직일 수 있는 환자
- 쿤밍에 거주할 것 (퇴원 또는 재활병원에 입원할 경우에도)
- 중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

제외 기준
- NIHSS 16점 이상
- 인지 기능의 결여, 청각, 시각 등의 심각한 결손
- 뇌졸중 후 심각한 합병증
- 의학적으로 중증 상태의 병력
- 임신 중 또는 수유 중
- 태극권 사범
-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임상 연구 참여자
표준 치료를 포함해 12주 동안 휠체어에서 할 수 있게 만든 양가 태극권을 각 대상자의 마비 정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함. 태극권 사범들이 비디오로 녹화한 영상을 따라 하게 하고 사용자용 핸드북 배포함.
표준 치료로 병원에서 권고하는 운동 치료를 하게 하고 사용자용 핸드북 배포함.

· 일차 평가지표: 상지 운동 기능 (Fugl-Meyer Assessment Upper Extremity, FMA-UE &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자세 균형 (Berg Balance Scale), 앉았을 때의 자세 균형 (Trunk Impairment Scale), 우울 증상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 이차 평가지표: 어깨 관절 가동 범위 (ROM; shoulder joint goniometer), 어깨 통증 (ShoulderQ), 일상생활 동작 수행 능력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odified Bathel Index), 삶의 질 (Quality of Life, QoL;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 기타: 만족도 설문

중재 8주, 12주 및 추적 관찰 (16주)에서 WMFT, 우울 증상, 앉았을 때 자세 균형, ADL, QoL 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재 12주 및 추적 관찰 (16주)에서 자세 균형, 중재 8주, 12주에서 어깨 신전 (shoulder extension), 추적 관찰 (16주)에서 상지 관절 가동 범위 (shoulder external rotation, shoulder internal rotation)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

중재 종료 시점 (12주)을 기준으로 상지 움직임에 걸리는 시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WMFT의 기능 수행 항목, 균형 조절, 앉았을 때 균형 조절, 우울 증상, 어깨 신전 (shoulder extension), QoL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상지 운동 기능 (FMAUE), 어깨의 굴곡 및 외전, 어깨 통증에 있어서는 중재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 없음.

이 연구는 아급성기 뇌경색 생존자들에 있어 맞춤형 좌식 태극권의 효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좌식 태극권의 임상 적용 및 치료 전환기 관리에 활용하고자 할 때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연구다. 이 연구 결과는 미래의 연구를 위한 통찰을 제공하며, 조기 뇌졸중 회복을 위한 운동 처방의 구성 요소로서 통합 좌식 태극권을 가치 있는 근거로 지지했다는 의의가 있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는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급성기의 안정이 막 끝난 환자가 재활 치료로 넘어가는 과정에서는 1:1 치료가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인력 부족, 병원의 스케줄, 전원 과정에서의 다양한 이유로 수일의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급성기 치료를 위한 상급병원과 재활 치료를 위주로 하는 병원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이고, 계속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재활 치료는 입원한 병원의 사정을 따를 수밖에 없는데다가 병원마다 여건도 다르므로 모든 병원이 당일 입원한 뇌졸중 환자에게 즉시 재활 치료 담당 치료사를 배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 외에도 퇴원 후 외래로 재활 치료를 받으려면 치료 일정 잡는 시간이 더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앉아서 수행할 수 있는 자가 운동 요법의 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운동 치료의 시작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상황에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 자가 운동 수행이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좋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여러 지표를 개선했으나 일차 유효성 평가에 해당하는 FMA-UE에서 두 그룹 간의 유의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저자 결론과 달리 이 운동 요법의 효과를 지지하는 정도는 비교적 약한 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뇌졸중 회복기에 재활 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고, 이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에서 보고된 부작용이 없다는 점에서 환자의 병동 생활 중 또는 퇴원 후 자택에서 계속 운동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조군에게는 운동 요법이 포함된 핸드북을 동일하게 제공하였지만, 비디오로 촬영된 운동법을 따로 시청하게 하면서 따라 하게 하는 과정이 없었습니다. 이는 운동을 하라고 하고 방법을 알려주는 것보다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운동 시간을 갖게 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울증 지수의 감소, QoL의 향상에서의 효과를 보았을 때 운동을 위한 시간을 배정하고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병원 내 운동 치료 프로그램 이상의 운동 기능 회복 외 부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뇌졸중 환자 맞춤형 좌식 양가 태극권의 적용에 대해서는 중국과 한국의 사회,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가 태극권은 중국에서 일상적인 운동으로 매일 아침 광장에서 체조처럼 단체 운동으로 활용되고 있어 중국인에게는 친숙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인에게 태극권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운동 양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고, 연구에서 활용한 태극권을 지도하는 인적 자원 역시 부족한 환경일 것으로 예상되어 임상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태극권이라는 틀을 떠나 뇌졸중 환자의 마비 정도에 따른 적절한 운동 방법을 개발하여 영상으로 제공하고 함께 따라 할 수 있는 병동, 시설, 자가에서의 환경을 구축한다면 운동 치료 배정 전 또는 전원 시, 자택 통원 치료 중인 환자 등 운동 치료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 시기를 줄여 최종적인 회복을 개선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세종 산돌한의원 제준태